![]() |
↑ 발기부전 치료 PDE5 억제제 / 사진=연합뉴스 |
비아그라, 시알리스 등 포스포디에스테라제5 억제제 계열의 발기부전 치료제가 식도암의 항암치료 효과를 상승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어제(27일) 미국 과학진흥 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 보도에 따르면 영국 사우샘프턴 대학 의대 소화기 외과 전문의 팀 언더우드 박사 연구팀은 식도암은 표준 항암제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보다 PDE5 억제제와 병행 투여할 때 치료 효과가 더 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PDE5 억제제 계열의 발기부전 치료제는 식도 종양 주위에 형성된 종양 미세환경의 활동을 억제해 항암 화학요법에 대한 내성을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종양 미세환경은 종양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으로, 종양이 성장하는 데에 중요 역할을 하는 '암 연관 섬유아세포', 혈관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는 종양에 영양소를 공급하며 종양에 대한 보호막을 형성해 항암 화학요법 등 암 치료의 효과가 나타나지 못하도록 차단합니다.
특히 CAF는 종양 미세 환경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팀은 원래 혈관 벽에 있어야 하는 효소인 PDE5가 식도선암 종양에 과하게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종양의 미세환경 내부에 있는 CAF에 PDE5 효소가 많으며 해당 효소가 지나치게 발현되는 것이 식도암의 낮은 생존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를 확인하고자 연구팀은 식도암 종양의 미세환경 조직에서 채취한 CAF를 PDE5 억제제에 노출시켜 봤습니다.
결과적으로 PDE5 억제제가 CAF의 활동을 억제했으며 CAF가 정상적인 섬유아세포의 모양으로 변했습니다.
이어 연구팀은 8명의 식도암 환자 종양에서 15번의 조직생검으로 채취한 암세포를 시험관에서 키워 인공 종양을 만든 뒤 표준 항암제와 함께 PDE5 억제제를 투여했습니다.
그 결과 실제 항암 치료에선 큰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던 환자의 12개 인공 종양 샘플 가운데 9개에서 표준 항암제에 예민한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항암 치료에 내성을 보이는 식도암 종양을 생쥐에 이식한 뒤 표준 항암제를 단독으로 혹은 PDE5 억제제와 함같이 투여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표준 항암제와 PDE5 억제제를 함께 투여한 경우가 표준 항암제만 투여했을 때보다 종양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영국 암 연구소의 미셀 미첼 소장은 “식도암 치료는 지난 40년간 개선된 것이 거의 없다”면서 “처음부터 새로 항암제를 개발하는 일은 길고 어려운 과정을 거쳐야 하고 또 실패하는 수가 많은 만큼 다른 질병 치료제로 이미 개발된 기존의 약을 대신 쓸 수 있는 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식도암은 다른 암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해당 연구 결과는 미국의 의학 전문지 '셀 리포트 메디신'(Cell Reports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