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WP에 따르면 캘리포이나주 새크라멘토 소방관들은 최근 테슬라 차 화재를 진압하느라 그야말로 진땀을 뺐다.
이 차량은 충돌 사고로 폐차장으로 옮겨졌지만 원인을 알 수 없는 발화가 발생했다.
이에 소방대원들은 물을 뿌렸지만 아무리 꺼도 배터리 칸에서 다시 불길이 살아났다.
소방관들은 배터리에서 방출되는 가스와 열기로 불이 계속 붙을 수 있다는 판단에 묘책을 생각해 냈다.
배터를 아예 물속에 넣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소방대원들은 물웅덩이 만들기 작업에 들어갔다.
트랙터를 이용해 땅을 판 소방관은 여기에 물을 채우고 불길에 휩싸여 있는 테슬라 차를 완성된 물웅덩이에 집어넣었다.
이 방법은 대성공이었다.
소방당국은 웅덩이에 채운 물은 1만7000ℓ로 웬만한 건물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양과 비슷하다고 밝혔다.
파카 월본 소방서 대변인은 전기차 화재는 소방관들이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완전히 새로운 것이라 화재 진압에 애를 먹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러한 소방관들의 고민은 테슬라의 긴급 대응 가이드라인을 보면 알 수 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세단 모델S의 배터리에서 불아 나면 직접 물을 뿌려 진압할 수 있는 데 걸리는 시간이 만 하루다. 또 이 시간 동안 투입되는 물의 양은 1만1000~3만ℓ다.
이에 대해 새크라멘토 소방서는 실제로 전기차 화재를 진압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은 7만6000∼11만ℓ에 달할 것이라며 이번에는 불이 난 테슬라 차를 웅덩이에 집어넣었기 때문에 물을 아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내연 기관보다 전기차에 불이 났
실제 지난해 4월 미국 텍사스주에서 테슬라 모델S 차량이 충돌로 사고 뒤 화염에 휩싸이자 소방대가 7시간 동안 약 10만6000ℓ의 소방수를 쏟아 부어 겨우 진화했다.
이 소방수의 양은 미국 일반 가정의 2년치 양과 맞먹는 수준이다.
[이상규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