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아웃·쉬운 이직·임금 상승 등이 원인
![]() |
↑ 미국 팝스타 비욘세. /사진=로이터 |
팝스타 비욘세가 미국의 '대퇴직'(Great Resignation) 시대상을 담은 신곡을 발매하면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어제 CNN 방송 보도에 따르면 비욘세의 최신 싱글 '브레이크 마이 솔'(Break My Soul)은 퇴사를 했거나 이를 희망하는 미국인들의 공감을 얻으면서 온라인에서 '대퇴직을 위한 송가'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이 노래는 '방금 직장을 때려치웠어. 회사는 날 정말 힘들게 해. 밤에 잠을 잘 수가 없어"라는 가사를 담고 있습니다.
CNN 방송은 "비욘세 노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사회경제적 피로감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을 담았다"며 "승진 등 직장 경력에 목을 매는 문화를 걷어차 버리려는 사람들이 비욘세의 메시지에 동조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노래 출시 이후 온라인에는 "비욘세가 회사를 그만두라고 했다", "비욘세 말대로 사직 이메일을 보냈다", "근무 시작 1시간 만에 왜 비욘세가 일을 그만두라고 했는지 알겠다"는 등 뜨거운 반응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노동 경제학자 닉 벙커는 "비욘세 신곡은 퇴사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함께 현재 노동시장에서 벌어지는 일을 반영한다"고 설명했
한편 '대퇴직'은 코로나19 여파로 작년 초부터 본격화한 현상입니다. 미국에서 구직자보다 기업의 구인 건수가 훨씬 많아지면서 직장을 옮기기가 쉬워지자 퇴직자들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근로자들의 번아웃(심신 소진) 현상, 재택·원격 근무 확산 등 노동 환경 변화, 시간당 임금 상승 등도 퇴사 유행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