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젤렌스키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링컨센터에서 열린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지 주최 '2022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갈라 행사에 영상으로 참여해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전장에서 죽어가고 있다"며 "무기와 제재가 러시아가 초래한 코로나22에 맞설 백신"이라고 말했다.
앞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동부 세베로도네츠크에서의 전투가 전체 돈바스(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를 합친 지역)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세베로도네츠크는 리시찬스크와 함께 루한스크주에서 우크라이나가 차지하고 있는 주요 2개 대도시 중 하나로, 주요 거점이다.
BBC와 CNN,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세베로도네츠크에서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모두 사상자가 증가하는 등 치열한 전투가 치러지고 있다.
미하일로 포돌랴크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보좌관은 "러시아군이 중화기, 다연장 로켓포, 공중폭격 등 핵을 제외한 모든 것을 퍼붓고 있다"며 "50~300개의 로켓 발사 시스템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서방을 향해 무기 지원을 호소했다.
포돌랴크 보좌관은 또 매일 100~200명의 우크라이나군이 전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레즈니코우 장관은 "러시아는 강력한 반격에 부딪히고 엄청난 막대한 사상자가 발생해도 단순한 물량공세를 계속하고 있다"며 러시아군의 손실이 더욱 크다고 주장했다.
올렉시 다닐로프 우크라이나 국가안보보좌관도 "그들은 병력을 아끼지 않고 총알받이처럼 투입하고 있다"고 말했고, 세르히 하이다이 루한스크 주지사는 "러시아군이 파리처럼 죽어나가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세베로도네츠크의 전황에 대해선 양측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러시아 측은 진전이 있으며 시간이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세베로도네츠크에서 승리를 주장하기 위해 거짓 선동을 하고 있다고 받아 쳤다.
그는 또 "미국과 영국이 약속한 장거리 로켓포가 도착하면 도시를 신속히 탈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상규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