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도 첸나이의 한 시장 / 사진=연합뉴스 |
인도가 서방의 우려와 제재 속에서도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더욱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인도 국영 석유업체들은 최근 러시아 최대 국영 석유회사인 로스네프트와 6개월짜리 신규 원유 공급 계약에 대해 마무리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수입에 나선 인도 국영 업체는 인도석유공사, 힌두스탄석유공사, 바라트석유공사 등으로 원유의 구체적인 물량과 가격에 대해서는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도는 세계 3위의 원유 수입국으로 수요의 8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후 유가가 급등하자 비교적 저가였던 러시아산 원유를 적극적으로 구매해왔습니다.
앞서 러시아는 세계 2위의 원유 수출국이지만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미국 등의 제재로 판매에 어려움이 생기자 각국에 할인된 가격으로 원유 판매를 제안한 바 있습니다.
블룸버그통신 집계에 따르면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은 지난달 하루 평균 74만 배럴로 지난 4월 28만4천 배럴이나 작년 동기 3만4천 배럴보다 크게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도는 지난 2월 말부터 지난달 초까지 총 4천만 배럴 이상의 원유를 러시아로부터 수입해 왔습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평소 인도는 수입 원유의 2∼3%만 러시아에서 들여왔습니다.
인도 정유회사들은 이렇게 수입한 러시아산 원유의 원산지를 인도산으로 만들어 다시 세계 곳곳에 수출해 큰 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와 관련 S. 자이샨카르 인도 외교부 장관은 지난 3일 업자들은 시장에서 가장 알맞은 원유를 살 뿐이라며 이에 정치적 메시지를 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등 서방에서는 인도의 이러한 러 원유 수입 확대가 러시아에게 탈출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화상 정상 회담에서 러시아산
하지만 인도는 과거 냉전 시대부터 러시아와 여러 분야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습니다. 또한 대러 관계가 악화할 경우 러시아산 무기로 중국과 파키스탄을 견제해야 하는 인도로서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멈추는 것이 큰 부담이 되는 상황입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