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부에 의한 불법적인 살인 등 문제 심각"
![]() |
↑ 미 국무부 홈페이지에 게재된 '2021 세계국가인권실태보고서'. / 사진= 미 국무부 |
미국 국무부가 중국과 북한을 심각한 인권 침해 국가로 규정했습니다. 정부 주도의 살인행위까지 벌어지고 있다고 적시했습니다.
현지시간 12일 미 국무부는 198개국의 인권 실태에 관해서 나타낸 '2021 세계국가인권실태보고서'(2021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를 공개했습니다. 보고서에서 미 국무부는 "현재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도발적인 침공에 대해서, 인권과 관련해 중대한 위기가 찾아왔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과 북한을 심각한 인권 침해 국가로 규정했습니다. 두 국가의 공통적인 문제점으로는 '정치적으로 동기부여된 살인, 정부 주도의 실종, 고문, 임의적인 체포, 공정한 공개 재판 거부, 평화로운 집회와 결사의 자유 박탈' 등을 꼽았습니다.
![]() |
↑ 2018년 중국 신장위구르 내 수용소 모습 / 사진=연합뉴스 |
중국에서는 "대량 학살과 신장 위구르족에 대한 억압이 발생하고 있다"며 "임의적인 투옥, 강제 낙태, 신체적 자유 박탈, 강간, 강제 노동 등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여러 수단을 동원한 실종이 전국적이고 체계적인 규모로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소수민족의 실종에 대해 언급하며 "정부는 위구르인, 카자흐족, 키르기스족, 신장의 다른 무슬림 및 소수 민족 집단의 구성원들을 대량으로 임의적으로 구금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국제앰네스티, 휴먼라이츠워치 및 기타 비정부기구(NGO)는 가족들이 구금 기간이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구금이 강제 실종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고 전했습니다.
![]() |
↑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가운데) / 사진=연합뉴스 |
북한과 관련해서는 "정부에 의한 불법 또는 임의적 살인, 정부에 의한 강제 실종, 고문, 정치범 수용소, 임의 체포 및 구금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정부나 그 요원들이 자의적이고 불법적인 살인을 저질렀다는 수많은 보고가 있었다"며 "허가 없이 출국을 시도하는 사람들은 현장에서 살해되거
미 국무부는 해당 보고서가 인권 존중이 이루어지는 세계를 건설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임을 단언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