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으로 망명한 러시아 출신의 한 사업가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목에 100만달러(약 12억원)의 현상금을 걸었다.
3일(현지시각) 영국 인디펜던트 등 외신에 따르면, 유명 사업가 알렉산드르 파블로비치 코나니힌(55)이 푸틴 대통령을 공개 수배하며 100만달러(약 12억원)의 현상금을 내걸었다고 보도했다.
코나니힌은 지난 1991년 보리스 옐친 정부로부터 외환 거래 허가를 받아 러시아외환은행을 설립자로 유명하다. 그는 러시아에서 100여개 회사를 설립, 한 때 러시아 최고 부자로 불렸다. 이후 1999년 미국으로 망명했다. 망명 이후에는 100개 기업의 운영권 등 러시아 내 자산을 모두 잃었다.
코나니힌은 지난달 2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러시아 헌법 및 국제법에 의거 '전범' 푸틴을 체포하는 이에게 100만 달러를 지급할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푸틴 대통령의 사진이 담긴 수배 포스터를 공개했다. 해당 게시물은 페이스북 운영 정책 위반으로 한차례 삭제됐지만, 지난 1일 다시 게재했다.
현상수배 전단지에는 "생사와 관계없이 잡아오라"는 문구와 함께 '대량 학살범 블라디미르 푸틴'이라고 적혀있다.
코나니힌은 "선거 자유를 제한하고 반대파를 숙청하는 등 (러시아) 헌법을 위반한 푸틴을 대통령으로 인정할 수 없다"며 "러시아인으로서, 러시아 시민으로서 러시아의 '비(非)나치화'에 앞장서는 것이 나의 도덕적 의무다. 푸틴의 맹공을 견뎌내기 위한 우크라이나인들의 영웅적 노력을 계속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코나니힌은 푸틴에게 현상금을 건 이유에 대해 '법의 심판'을 위해 내걸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2일 링크드인에 "푸틴 암살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푸틴은 반드시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날 국제형사재판소(ICC)는 러시아의 전쟁 범죄 혐의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ICC는 "회원국 중 39개국이 수사 개시를 요청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것과 관련한 증거 수집 작업을 개시했다"고 말했다.
이에 푸틴 대통령을 '전범'으로 법정에 세울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하지만, 문제는 러시아가 ICC 비회원국이라는 점이다. 비당사국의 '협조'는 자발적 성격을 가진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아닌 ICC 회원국의 요청으로 시작된 수사의 경우 비회원국의 협조 의무가 없다. 비슷한 사례도 있다. ICC는 지난해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을 조사하려고 했으나, 2019년 ICC를 탈퇴한 필리핀은 협조를 거부했다.
한편,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키예프)를 위협하던
영국 ITV방송 등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 당국자는 "많은 사례를 고려할 때 행렬에 말 그대로 연료가 떨어졌다"며 "이제 러시아는 병사들에게 먹일 음식까지 동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맹성규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