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서 세 번째로 깊은 해구로 알려진 필리핀 해구가 마침내 인류에게 그 모습을 드러냈다.
하지만 인류가 처음 접한 필리핀 해구의 모습은 충격 그 자체였다. 수십 1만m가 넘는 해연에서 플라스틱 쓰레기가 발견된 것이다.
민간해저기술업체 캘러던 오셔닉은 유튜브를 통해 지난 3월에 필리핀 해구 엠덴 해연을 탐사했던 영상을 공개했다.
이번 탐사에는 필리핀국립대 해양과학연구소 미생물해양학자 데오 플로렌스 온다(33) 박사와 해저탐험가 빅터 베스코보(55)가 함께했다.
1일(현지시간) CNA는 온다 박사와 베스코보가 당시 12시간 동안 심해 잠수정 '리미팅팩터'를 타고 수심 1만540m에 이르는 엠덴 해연 속으로 내려갔다고 보도했다. 인류가 해연 속으로 들어간 것은 처음이다.
이 때문에 학계는 생명체 등 새로운 발견을 기대했다. 온다 박사도 "책에서만 볼 수 있던 장소를 직접 보게 돼 가슴이 벅차다"고 말했다.
하지만 온다 박사의 기대는 실망으로 바뀌었다. 그가 처음 발견한 물건은 생명체도 아닌 플라스틱 쓰레기였다.
그는 "흰 물체가 둥둥 떠다니고 있어 베스코보에게 '저건 해파리'라고 말했는데 가까이 다가가 보니 플라스틱이었다"고 말했다. 비닐봉지, 제품 포장지, 곰인형 등 수많은 쓰레기들이 그대로 떠다니고 있었다고 온다 박사는 덧붙였다.
그는 "지구 오염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알게 됐고 이를 알려야 할 책임을 느꼈다"면서 "아직도 심해 생물이 얼마나 다양한지 모르고 이들이 해양 생태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알지 못한다"고 우려했다.
당초 온다 박사의 주요 연구 초점은 식물성 플랑크톤과 같은 미생물의 생명주기였다.
그는 "바다는 국경이 없기 때문에 플라스틱이 떠다니며 생명체에 중대한 위협을 줄 수 있다는 생각에 충격을
이어 "미생물은 기후 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며 "식물성 플랑크톤이 탄소를 소비할 때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빼앗는데 이는 바다 바닥에 가라앉아 수백만년 동안 저장되는 미립자 유기물로 전환된다"고 설명했다.
[이상규 매경닷컴 기자 boyondal@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