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미국 부동산 시장에 경제적으로 큰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7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으로 밀린 집세가 부동산 시장의 시한폭탄이 됐다고 보도했다.
최근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실업자 관련 통계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세입자들이 내지 못한 집세는 72억 달러(한화 약 8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미국 정부가 추가적인 지원책을 내놓지 않을 경우 연말까지 밀린 집세가 700억 달러(약 79조원)까지 불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즉, 1280만명의 미국인이 평균 5400달러(약 600만원)의 집세를 내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현재 미국 연방 정부에서는 코로나19 대책으로 집세를 부담하지 못해도 집주인이 퇴거 조치를 하지 못하도록 한 상태다. 하지만 이 정책은 내년 1월까지로, 정책 이후 상황은 아비규환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번 부동산 위기는 중산층 이하에 집중될 것
지난 2008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가 한국의 실물, 금융부실에 악영향을 끼친 만큼 내년 1월 혼란스러운 미국 부동산 경제도 한국 경제에 악영향을 끼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박완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