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이 안보리 결의 1718호를 명백히 위반했다며 이를 강하게 규탄한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조익신 기자~!
【 질문 】
유엔 안보리 첫 회의가 끝났는데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죠?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한국 시각으로 새벽 5시 반에 시작됐던 유엔 안보리 긴급 회의가 약 한 시간만에 끝났습니다.
회의를 마치고 나온 유엔 안보리 의장, 비탈리 츠르킨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는 "북한의 2차 핵실험과 관련해 명백한 안보리 결의 1718호 위반으로 강하게 반대하고 규탄한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습니다.
츠르킨 대사는 이어 "즉각적인 대북 제재 조치 마련 작업에 착수할 것"이라며 강한 어조로 북한의 핵실험을 비난했습니다.
유엔 안보리가 이제 막 대북 제재 논의를 시작했다는 점에서 츠르킨 대사의 강도 높은 비난은 매우 이례적이란 분석입니다.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1718호 위반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제재 방침을 밝힘에 따라 이제 관심은 제재 수위로 쏠리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에 채택될 결의안은 지난 1718호보다 좀 더 강력한 제재 내용을 담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1718호는 유엔 헌장 7장 41조를 원용해 북한에 대한 무기 수출금지, 주요 단체·인사에 대한 여행 제한, 금융 동결 등을 규정하고 있는데요.
41조에 따르면 철도·항공·우편·통신 등의 일부 또는 전면 중단과 외교적 단절까지 할 수 있도록 돼 있기 때문에, 이 범위 내에서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큽니다.
일각에서는 이번 결의안에 북한에 대한 군사적 행동을 지지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는데요.
이 경우 중국과 러시아의 태도가 중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 당국자는 "군사적 제재는 곧 전쟁을 하자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군사적 행동을 지지하는 내용이 포함될 가능성은 작게 봤습니다.
지난 1차 핵실험 때 회의 소집 5일 만에 만장일치로 결의안이 채택됐기 때문에 수일 내에 추가 결의안 합의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정부는 회의에 앞서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등 5개 안보리 상임 이사국과 회의를 갖고 의견을 조율했습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MBN뉴스 조익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