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군 통수권자로서 지위를 '무력 총사령관'으로 격상하면서 군 장성들에겐 '장군'이라는 파격적 호칭을 썼습니다.
오늘(14일) 조선중앙TV가 중계한 지난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열병식 영상과 조선중앙통신 등을 보면 북한은 열병식에서 "우리 무력의 총사령관 동지를 육해공군 장군들이 맞이했다"며 "김정은 동지께 군 장군들은 다함없는 흠모심을 안고 최대의 경의를 드렸다"고 보도했습니다.
북한이 군대 내 장성급 인사를 '장군'이라고 부른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전례 없는 파격이 아닐 수 없습니다.
'장군' 호칭은 북한에서 최고지도자인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만 붙였기 때문입니다.
현재도 북한에서 '위대한 장군님'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부르는 대명사로 쓰입니다.
그동안 북한은 군 스타를 '장령(將領)' 또는 '장성'으로 지칭했고, 대장은 물론 원수나 차수 계급장을 단 군 고위 간부에 대해서도 장군은 금기 호칭이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군 지위에 대해서도 지난해 '군 최고사령관'에서 '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으로 높인 데 이어 이번에 다시 '무력 총사령관'으로 재차 격상했습니다.
일부 군 인사가 행사 발언을 통해 김 위원장을 '무력 총사령관'으로 부른 사례는 있었지만, 관영매체에서 공식적인 호칭으로 쓴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북한의 이런 움직임은 지난 5월 노동당 중앙군사위 회의에서 결정된 명령서에 기반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중앙통신 보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당시 회의에서 결정된 군사대책, 중요군사교육기관 기구개편, 군사지휘체계 개편과 지휘 성원의 군사칭호 격상 등 7건의 명령서에 친필 서명했습니다.
군 통수권자로서의 김 위원장의 지위를 격상하고 군 장성을 장군으로 호칭하는 것은 체제 수호를 위해 무기 개발과 군 역량을 지속 강화하는 동시에 군의 사기 진작을 높이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이런 변화는 결과적으
김인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당 창건 75주년을 계기로 군 최고 통수권자로서 김정은의 지위를 '무력 총사령관'으로 격상하는 연장 선상에서 장령으로 불리던 군 장성들을 장군으로 내세운 것"이라며 "장군들을 거느리는 김정은의 지위를 강조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