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상 수상자가 5일(현지시간)부터 차례대로 발표된다.
이날 노벨위원회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날 생리의학상 수상자 발표를 시작으로 12일까지 부문별 수상자가 잇따라 공개된다.
6일 물리학상, 7일 화학상, 8일 문학상, 9일 평화상, 12일 경제학상 순이다.
올해는 코로나19 여파로 전세계가 고통을 받고 있어 과학 분야 수상자에 관심이 쏠린다.
우리나라는 나노결정 합성 연구를 진행한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가 화학상 부문 유력 후보로 거론된다.
그는 모운지 바웬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크리스토퍼 머리 펜실베이니아대 교수와 함께 물리학, 생물학, 의학 시스템 등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나노결정 합성 연구를 진행했다.
평화상 부문에서는 올해 두각을 나타내는 단체나 인물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국제 언론자유단체인 '국경없는기자회'(RSF)와 청소년 환경운동가인 그레타 툰베리의 이름이 눈에 띈다. 코로나19 방역을 주도하고 있는 세계보건기구(WHO)도 후보로 거론된다.
문학상은 미국의 여성 작가 자메이카 킨케이드가 유력 후보로 언급된다. 그는 식민주의, 인종차별, 성 평등을 다룬 다수의 작품을 집필
[이상규 기자 boyondal@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