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미국에 퍼지기 시작한 1월 말~2월 초에 독감보다 훨씬 치명적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은폐했다는 폭로가 나와 화제다.
워싱턴포스트(WP)와 CNN방송은 다음 주 발간 예정인 밥 우드워드의 신간 '격노'를 입수해 이 같은 내용을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드워드에게 지난 2월 7일 "코로나19는 매우 치명적이다"라고 말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우드워드에게 "그것은 매우 까다로운 것이고 다루기 힘들어 격렬한 독감보다도 더 치명적일 것"이라며 전날 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하며 코로나19에 관해 대화를 나눈 것에 대해 얘기했다는 것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1월 28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밀정보를 받았을 때 국가안보보좌관은 "코로나19가 대통령 임기 중 가장 큰 국가안보 위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메슈 포틴저 당시 부보좌관도 "세계적으로 약 5000만 명의 사망자를 낸 1918년 유행성 독감과 비슷한 수준의 보건 비상사태에 직면한 것이 명백하다"라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에서는 1월 26일 워싱턴주에서 첫 코로나19 증세 환자가 발생했다.
미 정부는 1월 31일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중국을 여행한 외국인의 입국을 차단했지만 2월 29일 워싱턴주에서 미국 내 첫 사망자가 나왔다.
우드워드는 3월 19일 트럼프 대통령이 "공황을 조성하지 않기 위해 일부러 위험을 경시하고 있다"라며 그가 젊은 층의 감염 위험도 인정했다고 폭로했다.
또 그는 4월 3일 코로나19 태스크포스(TF) 브리핑에서 바이러스의 위험을 여전히 경시하며 "그것이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지만 이틀 뒤 우드워드에게는 "끔찍하고 믿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후 미국에서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우드워드의 7월 마지막 인터뷰에서 "바이러스는 나와 상관없다"라며 "중국이 망할 바이러스를 내보냈다"라며 자신의 잘못이 아님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책의 내용이 공개되자 "국민을 공포로 내몰고 싶지 않았다"라고 반박하며 중국에 또다시 책임을 돌렸다.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는 이날 미시간주 선거유세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코로나19가 얼마나 치명적인지 알았지만 경시했다"라고 비판했다.
두 차례 퓰리처상을 받은 탐사보도 언론인이자 '워터게이트' 특종기자로 유명한 우드워드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지난해 12월 5일부터 올해 7월 21일까지 18번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우드워드는 "트럼프는 문 뒤의 다이너마이트"라며 "그 직분에 맞지 않는 사람"이라는 평가로 책을 끝맺었다.
[최유빈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