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K9 자주포 서울 ADEX 전시 / 사진=한화디펜스 |
한화디펜스는 국내 기술로 독자 개발한 K9 자주포가 호주 육군 자주포 획득사업의 단독 후보 기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습니다.
호주 정부의 제안서 평가 뒤 가격 협상을 거쳐 내년께 양산 계약이 체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3일) 한화디펜스에 따르면 호주 정부는 K9 자주포 30문과 K10 탄약운반장갑차 15대를 납품하는 이번 사업에 1조 원가량의 예산을 편성했습니다.
K9 자주포는 2010년에도 호주 육군 자주포 사업의 최종 우선협상대상 기종으로 선정됐었습니다.
하지만, 호주 정부가 2012년 국방예산 삭감을 이유로 자주포 사업을 중단하면서 K9 자주포 수출이 무산됐습니다. 당시 호주는 견인포와 자주포를 모두 도입하려고 했지만, 국방 예산이 삭감되면서 견인포만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호주가 다시 자주포 획득 사업을 시작하고, K9 자주포를 단독 후보로 선정하면서 10년 만에 자주포 수출이 재추진되는 것입니다.
한·호주 정상이 지난해 9월 국방·방산 협력을 주요 의제로 정상회담을 하고, 그해 12월 양국 외교·국방 장관이 방산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하는 등 양국 국방 협력이 강화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한화디펜스 관계자는 "호주법인을 설립해 현지 생산시설 구축을 계획하고, 호주 방위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등의 현지화 노력도 이번 후보 선정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습니다.
K9 자주포의 제원은 최대사거리 40㎞, 발사속도 6∼8발/1분, 탄약적재량 48발입니다.
k9 자주포는 압도적인 화력과 높은 기동성 및 생존성을 자랑한다고 한화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장거리 화력 지원과 실시간 집중 화력 제공 능력을 바탕으로 사막에서 설원까지 다양한 작전환경에서 운용이 가능합니다.
한화디펜스는 터키, 폴란드, 핀란드, 인도,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등에 K9 자주포를 수출한 바 있습니다.
노르웨이에 수출됐던 k10 탄약운반장갑차는 한 번에 104발의 포탄을 적재할 수 있고, K9에
이성수 한화디펜스 대표이사는 "호주의 K9 도입 결정은 한·호주 국방 협력의 값진 결실이자 대한민국 방위 산업의 기술력을 입증한 쾌거"라며 "호주 정부와 협력해 현지 생산시설 구축과 인력 양성에도 힘쓰겠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