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 페루는 지난 3월 16일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확산하면서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전 국민에게 자택 격리령을 내리고 국경을 봉쇄해 입국은 물론 출국까지 전면 차단했다.
당시 페루는 코로나19 누적확진자가 두 자릿수에 그쳤는데도 중남미 국가 중에서는 처음 의무 격리령을 내렸다.
그러나 이처럼 발빠르고 강도 높은 조치에도 효과는 내지 못했다.
2일(현지시간) 페루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65만7000여명으로 전 세계 5위다. 사망자는 2만9000여 명으로 전 세계 9위 수준이다.
하지만 인구대비 사망자를 보면 전 세계 1위다. 페루는 인구 3300만명으로 인구 100만명 대비 사망자는 880명에 이른다.
그렇다면 페루는 가장 빨리 봉쇄 조치를 취했는데도 확진자와 사망자가 늘어난 이유는 뭘까?
여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열악한 의료 환경, 비공식 노동자들이 많은 노동 상황, 높은 빈곤율, 양호하지 않은 국민의 건강상태 등이 코로나19 사망률을 높인 요인으로 꼽힌다.
EFE통신에 따르면 페루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 의료 지출 비중은 2.2%로,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 수준인 6%에 한참 못 미쳤다. 의료 인력도 부족해 인구 1만 명당 의사 수가 13명으로 중남미 최저 수준인데, 그나마 아마존 지역 등은 의사 찾기가 더 힘들다. 국민의 방역 규정 위반도 한 몫 했다.
EFE
아울러 페루 국민의 과체중 비율이 70%에 달하는 등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점도 코로나19 치명률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규 기자 boyondal@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