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선 연기 언급이 엄청난 후폭풍을 몰고 왔다.
민주당은 말할 것도 없이 트럼프 대통령의 친정인 공화당도 이번에는 들고 일어나 "대선 일정 변동은 없다"며 공개적으로 말했다. 결국 사태가 심각해지자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연기를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불씨는 여전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포스트(WP)는 30일(현지시간) '매코널과 다른 공화당 지도부 인사들, 트럼프의 11월 3일 대선 연기 제안에 퇴짜 놓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연기론으로 공화당과 민주당 양쪽으로부터 즉각적인 비판을 초래했다고 보도했다.
공화당은 당혹감 속에 아연실색한 표정이었다.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한 방송 인터뷰에서 "이 나라의 역사에 있어 전쟁에도, 불황에도, 남북전쟁에도 연방 차원에서 잡힌 선거를 정시에 치르지 않은 적은 결코 없다"며 "우리는 이번 11월 3일 다시 그렇게 할 길을 찾아낼 것"이라고 말했다고 WP와 CNN 방송 등이 보도했다.
케빈 매카시 하원 원내대표도 "우리가 연방 선거 역사상 선거를 미룬 적이 결코 없다. 예정대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존 튠(사우스다코타) 상원 원내대표는 CNN에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과 상관없이 11월에 대선이 치러질 것이라며 언론의 관심을 얻을 수 있는 발언일 수 있지만, 실제 심각한 결과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딕 체니 전 부통령의 딸인 하원 공화당 의원총회 의장 리즈 체니 하원의원은 트윗을 통해 "이러한 발상(대선연기론)에 대한 공화당 내 저항은 압도적"이라고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친(親)트럼프 중진인 린지 그레이엄(사우스캐롤라이나) 상원의원마저 우편투표에 대한 우려는 제기하면서도 "선거 연기는 좋은 생각이 아니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선거일 조정 권한도 없는 대통령이 선거 패배 가능성을 의식, 국면 전환용 꼼수를 시도한 것이라고 몰아붙였다.
특히 민주당 대선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 캠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 일자를 변경할 아무런 권한도 없으며 끔찍한 국내총생산(GDP) 실적에서 주의를 딴 데로 돌리기 위한 명백한 책략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선거일 변경 권한을 가진 의회가 여야 할 것 없이 즉각 반발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우편투표의 문제를 거듭 제기하면서도 자신도 대선 연기를 보고 싶지 않다며 한발 물러섰다. 문제의 트윗을 올린지 9시간 만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번복하는 듯한 모양새를 취하긴 했지만 지지율 추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불씨는 계속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뉴스국 news@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