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텍사스주 휴스턴의 중국 영사관 폐쇄를 요구하면서 미중 갈등이 첨예화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중국 공관의 추가 폐쇄도 가능하다며 압박을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코로나19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추가로 공관을 폐쇄하는 것은 언제나 가능하다"며 "1~2곳을 더 폐쇄하면 어떠냐"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가 폐쇄키로 한 곳에서 화재가 있었고, 그들은 서류를 태우려 한 것으로 추정한다"며 "대체 무슨 목적인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데이비드 스틸웰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휴스턴 중국 영사관은 연구물 탈취의 중심지였다"며 "코로나19 백신과 관련됐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 내에는 휴스턴 영사관과 워싱턴DC의 대사관 외에도 뉴욕, 로스엔젤레스(LA), 샌프란시스코, 시카고 등에 영사관이 있다. 특히 샌프란시스코 영사관은 미 연방수사국(FBI)이 기술탈취 혐의로 수사 중인 중국 여성을 현재 보호 중인 것으로 알려져 추가 폐쇄대상이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트위터에서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 요구에 대해 "믿기 어려울 정도로 말이 안되는 일"이라며 "미국 정부가 비난과 증오의 부채질을 한 결과 주미 중국 대사관은 폭탄과 살해 위협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은 중국에 대한 전례없는 정치 탄압을 일삼고 있다"며 "미국이 잘못된 결정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현재 중국은 미국의 조치에 맞서 청두 미국 총영사관 폐쇄 조치를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 = 신헌철 특파원 / 베이징 = 김대기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