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뿐만 아니라 미국도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가 사상 최저로 떨어졌습니다.
미국의 만기 30년 고정금리형 모기지 금리가 사상 처음으로 3% 아래로 떨어졌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이 현지시간으로 오늘(16일) 보도했습니다.
국책모기지 업체인 프레디맥에 따르면 이번 주 30년 모기지 평균 금리가 2.98%를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3% 선을 밑돌았습니다.
이는 프레디맥이 1971년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가장 낮습니다. 프레디맥은 대출 기관 125곳으로부터 금리 자료를 받아 매주 평균 금리를 산출합니다.
30년 모기지 금리는 이번을 포함해 올해 들어 7번이나 사상 최저를 경신할 만큼 지속적인 내림세를 보여 왔습니다.
30년 모기지 금리가 1980년대 초반 18%까지 올랐던 점을 고려하면 현재 수준은 상당히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모기지 금리의 이런 내림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 때문으로 외신들은 풀이했습니다.
금융시장이 코로나19 확진자 증가로 경제 회복이 더디어진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통상 모기지 금리가 내려가면 주택 매매가 활성화하지만, 이번에는 상황이 달랐습니다.
전미 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기존 주택 매매는 4월에 전달 대비로 17.8% 하락한 데 이어 5월에도 9.7% 감소했습니다.
수백만명이 일자리를 잃어 집을 살 엄두를 내지 못하는 데다가 경기침체가 장기화할 것이란 우려로 집을 살 만한 여유가 있는 이들도 구매를 꺼리고 있다고 WSJ은 설명했습니다.
게다가 구매 의사가 있는 이들에게 현재 주택 재고가 많지 않고 가격도 높은 편입니다.
매물로 나온 주택 수는 6월 현재 1년 전보다 27.4% 적었습니다. 주택 가격은 4월에 전년 동기 대비로 4.7% 올랐습니다.
한국도 고정금리 모기지가 사상 최저를 경신 중입니다.
은행연합회에 따
6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0.89%로 5월(1.06%)보다 0.17%포인트(p) 하락했습니다. 지난해 말부터 7개월 연속 하락한 끝에 2010년 2월 지수가 산출된 이래 처음으로 1%를 밑돌았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