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년 전 외환위기 때, IMF의 대출이 유난히 까다로웠던 기억 다들 있으실텐데요,
IMF가 현재의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대출 한도를 없애고, 상환 기간도 늘리는 새 대출제도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오대영 기자!
【 질문 】
IMF의 대출제도 개선 방향, 자세히 전해주시죠.
【 기자 】
네, IMF가 전세계를 짓누르고 있는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신축적 신용제공제도'로 이름 붙여진 제도를 도입해, 대출 한도를 없애고, 상환 기간도 6개월에서 1년으로 하되 최대 5년까지 연장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IMF는 그동안 유동성 위기에 처한 국가가 신청하면 엄격한 조건에 따라 지원 여부를 결정했기 때문에, 지원 요청만으로도 '구제금융 신청국'이라는 오명을 써 외환 투기세력의 공격 대상이 돼 왔습니다.
IMF는 새 제도가 '사후 처방'이 아닌 '예방' 차원으로 손쉽게 돈을 빌려 쓰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회원국이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양 만큼의 자금을 신청할 수 있고, 대출 승인 전까지는 모든 내용을 비밀에 부치겠다고 밝혔습니다.
IMF는 이런 방안을 다음 달 G20 정상회의에서 참가국들과 논의할 예정인데, 이를 위해 3천500억 달러의 재원이 필요하다는 점도 공식 제기합니다.
일본이 1천억 달러를 이미 제공했고, EU도 1천억 달러 지원을 약속한 바 있습니다.
최대 외환보유국인 중국도 지원에 호의적인 상황입니다.
한편, 우리 정부는 국제통화기금이 새로운 단기 외화 대출제도를 내놨지만 이를 활용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기획재정부 고위 당국자는 "IMF라는 말만 들어도 국민 감정이 좋지 않아 작년말에도 참여를 거부했으며 이같은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미국, 일본, 중국과 통화스와프로 충분한 외화를 확보했고 무역수지도 좋아지고 있어 굳이 IMF의 대출제도 활용까지 검토할 필요는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지금까지 국제팀에서 mbn뉴스 오대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