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중국 우한(武漢)에서 이르면 지난해 8월 말 발병했다고 추정할 수 있는 새로운 정황이 나왔습니다.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진은 우한의 병원 주차장을 촬영한 위성사진과 인터넷 검색량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같이 주장했다고 미 CNN 방송,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 등이 현지시간 8일 보도했습니다.
연구진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디지털 메디신에 기고한 논문에서 2018년 8월부터 우한의 병원 5곳에 주차된 차량이 1년 전보다 눈에 띄게 늘어나기 시작해 그해 12월 정점을 찍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논문은 동료평가를 아직 거치지는 않았습니다.
예컨대 2018년 10월과 2019년 9월에 찍힌 우한 퉁지의학원 주차장의 위성사진을 비교해보면 각각 112대, 214대로 차이가 있었습니다. 톈여우(天佑) 병원 주차장도 2018년 10월과 2019년 10월을 비교해보면 171대, 285대로 후자가 더 붐볐습니다.
이번 연구를 이끈 존 브라운스타인 교수는 병원 주차장이 붐빈다는 것은 그 당시 병원이 얼마나 바빴는지 보여주는 지표라며 지난해 늦여름∼가을 우한에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늘어났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이끈 브라운스타인 교수는 몇 년 전 중남미 지역 병원이 독감 철에 매우 바빠졌다는 내용이 담긴 논문을 냈었다면서 "병원 주차장을 보기만 해도 독감 철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구진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정황은 더 있습니다. 우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늘어난 시점에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에서 코로나19 대표적인 증상으로 알려진 "감기", "설사" 검색량이 급증한 것입니다.
브라운스타인 교수는 "우한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 중 많은 수가 설사 증세를 보였다"며 "바이두에서 설사를 검색하는 사람이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수준으로 많이 증가했다는 데이터는 주목할만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진은 병원 주차장 위성사진과 바이두 검색량만 갖고 코로나19가 지난해 8월 발생했다고 단언하기는 어렵겠지만, 코로나19 대유행 훨씬 이전에 우한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중국 정부가 지난해 12월 31일 첫 번째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왔다고 세계보건기구(WHO)에 보고했지만, 공식 발표보다 훨씬 앞서 이미 전염병이 유행하고 있었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입니다.
이와 관련, 중국 당국은 브라운스타인 교수팀의 주장이 황당하다며 강력히 반발했습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9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아직 관련 연구에 대해서 살펴보지 못했지만, 차량 통행량으로 이런 결론을 내린다는 것은 매우 황당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화 대변인은 "얼마 전에도 미 국방부와 협력 관계인 연구 기관에서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의 차량 통행량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데이터를 분석해 코로나19 우한 발원설을 주장했다"면서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의 한 매체가 반박 증거를 제시한 적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이런 종류의 증거는 완전히 불합리하고 허점이 너무 많다"면서 "이 문제와 관련해서는 모두가 과학을 존중해야지 아무런 근거도 없는 증거를 가지고 이야기해서는 안 된
화 대변인은 그러면서 "만약 내가 오늘 외교부에서 무슨 행사를 주최한다면 외교부에는 평소보다 많은 차량이 통행할 것"이라며 "코로나19 기원과 관련해서 중국을 향한 음모론이 너무 많고, 중국에 대한 매우 불공평한 처사가 많다"고 덧붙였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