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 이후 유럽 각국에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올라갔다는 현지 한국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오늘(14일) 베를린자유대 한국학연구소와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가 공동으로 진행한 '유럽·한국프로그램 연구팀'이 독일 등 유럽의 16개 국가에서 23명의 한국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습니다.
한국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산 사태 이후 한국에 대한 자국 언론의 보도 내용 등을 토대로 설문에 응했습니다.
조사에서 독일과 영국, 이탈리아, 스웨덴, 체코, 폴란드 등 12개국의 전문가들은 한국의 방역 모델에 대해 해당국에서 '긍정적 인식'을 보내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덴마크와 오스트리아의 전문가들은 현지에서 한국의 방역 소식이 거의 보도되지 않았다고 답했습니다.
프랑스의 전문가는 현지에서 한국의 진단 검사에 대해 신뢰를 보이지 않는 의료전문가들의 의견이 주로 보도되는 등 부정적인 이미지가 전달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의 검사 전략을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 독일과 영국, 프랑스, 스페인, 폴란드, 체코, 포르투갈 등 10개국 전문가들은 '배워야 한다'는 반응이 많았다고 답했습니다.
한국의 확진자 동선 확인 및 접촉자 추적 방식에 대해서는 체코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대체로 중립적이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습니다.
프랑스와 네덜란드 연구자들은 모두 현지 여론이 부정적이었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네덜란드 언론에서는 한국의 코로나 방역이 성공한 이유는 집단주의 문화 때문이라는 분석이 자주 이뤄졌습니다.
한국이 방역 정책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것 자체에 대해서는 오스트리아와 덴마크, 핀란드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혁신적으로 바라봤습니다.
영국의 경우 현지언론은 한국의 성공적인 방역 사례를 지속해서 보도했지만, 구체적인 방역 방식에 대해서는 독일의 사례에 더 주목했습니다.
자국 정부의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체코와 핀란드, 포르투갈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 전문가들은 대응이 적절하지 못했다는 부정적인 여론이 지배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지휘한 이은정 베를린자유대 한국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사태에서 한국이 위기 극복의 모범적인 사례가 됐는데, 유럽 각국에서 한
'유럽·한국프로그램 연구팀'은 한국에 대한 이해력을 갖추고 유럽의 각 기관에서 활동할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2020년 1월에 시작한 프로그램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