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5월 6일까지인 긴급사태를 한달가량 연장키로 방침을 굳혔다. 대상 지역은 현재와 동일하게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안이 유력하다.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는 누그러지고 있지만 여전히 확산 속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데다 의료 붕괴 우려에 따른 판단이라고 일본 언론들이 30일 일제히 보도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30일 국회에 출석해 "매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며 연장할 뜻을 시사했다.
일본 정부는 1일 열리는 전문가회의에서 연장 방침을 설명한 뒤 4일께 구체안을 내놓을 것으로 관측된다. 연장기한은 5월말 혹은 6월7일까지를 놓고 검토가 이뤄지고 있으나 5월말이 유력하다고 요미우리신문이 전했다. 대상 지역을 일부로 제한할 경우 지역간 이동을 통한 확산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현재와 같이 전국으로 설정할 계획이라고 신문은 덧붙였다.
일본 정부는 4월 8일부터 도쿄도, 오사카부 등 7개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긴급사태를 선언했다. 이후 16일엔 긴급사태를 전역으로 확대했다. 긴급사태 선언을 통해 각 지방자치정부에선 의료물품과 설비 등 확보를 위한 권한이 강화된다. 일본 정부는 5월 6일까지의 장기 연휴(골든위크) 기간 중 확산 속도를 대폭 늦추겠다는 목표지만 예상대로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9일에도 도쿄 47명을 비롯해 일본 전역에서 224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1일 확진자 증가가 가장 많았던 지난 11일(719명)에 비해서는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지만 언제든 추가 확산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이다. 검사를 늘렸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해외에 비해서는 턱없이 부족해서다. 일본의 인구 100만명당 검사건수는 미국이나 한국에 비해서는 10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 가장 확진자가 많은 도쿄에서도 1일 검사인원수가 300명 수준이라 실제 감염자는 검사 결과보다 훨씬 더 많을 것이란 주장이 끊이지 않고 있다.
도쿄의 한 병원에서 21~28일 기간 중 일반인과 의료종사자 200여명을 상대로 실시한 코로나19 항체조사 결과에서는 5.9%가 양성으로 판정됐다고 도쿄신문이 30일 보도했다. 일반인들의 경우 양성판정율이 4.8%였으며 의료진의 경우 이 비율이 9.1%까지 높아졌다. 앞서 도쿄 게이오대학병원에서 환자들은 상대로 실시한 PCR 검사에서도 6%가 양성으로 판정됐다. 도쿄의 경우 전체 인구의 5~6%를 넘는 사람이 감염됐을 수 있다는 얘기다. 30일 국회에서도 야당 의원들의 검사 수 부족에 대한 추궁이 이어졌다.
한편 학교 개학이 계속 늦어지면서 현재의 4월 입학을 9월 입학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날로 커지고 있다. 아베 총리도 국회 답변을 통해 "9월 입학제를 포함한 다양한 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9월입학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것은 휴교 기간이 길어지면서 학년별로 학력
[도쿄 = 정욱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