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코로나19 확산 예방 대책으로 한국과 중국을 상대로 입국 제한 카드를 꺼낸 것을 두고 일본 내에서도 비파느이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아베 총리는 5일 저녁 주재한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한국과 중국에서 들어오는 입국자를 지정 장소에서 2주간 대기토록 하고 두 나라 국민에게 발급한 비자의 효력을 정지하는 내용의 새로운 코로나19 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일부 일본 언론 매체는 아베 총리가 전문가 의견을 제대로 듣지 않은 채 정치적으로 판단해 강행한 초중고 전면 휴교 조치와 마찬가지로 주먹구구식 대책을 이어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일본 정부 코로나19 대책본부의 전문가 회의에 참여하는 오시타니 히토시(押谷仁) 도호쿠(東北)대 교수(바이러스학)는 도쿄신문 인터뷰에서 "위험지역에서 사람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 것은 감염증 대책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그는 지금은 위험지역이 동남아시아나 미국 등에서도 넓어지고 있고, 이들 지역을 전부 입국 제한지역으로 묶지 않으면 안 된다는 얘기라며 이번 대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전문가 회의에서 오시타니 교수는 일본 국내에 국지적으로 나타나는 소규모 '감염자 집단'(클러스터)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다니구치 기요스 미에(三重)병원 임상연구부장도 "사실상 입국 제한에 가까운 대책이지만 이미 국내에 감염이 확산했다고 여겨지는 상황이라면 큰 의미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