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가 발간한 올림픽 안내책자 내 경제효과 분석. 2020 도쿄올림픽 유치에 성공한 2013년 이후 2020년 당해, 그리고 대회 개최 뒤 10년간을 합해 총 18년간 도쿄와 지방도시 등에서 생길 효과가 327조원 상당에 이를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에 따른 일자리 증가효과도 194만명에 육박한다고 평가... |
지난해 12월 중국에서 본격화한 코로나19가 석 달만에 전세계 80여개국으로 퍼져나가면서 2020년 하계 도쿄올림픽 등 대형 국제행사에도 어두운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감염학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넉 달 앞으로 다가온 도쿄 올림픽의 운명을 가를 변수로 세계보건기구(WHO)의 전염병 최고단계 경고(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포 여부를 지목하고 있다. WHO가 최고 수준의 감염경고를 발동한 상황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206개국 국가 선수들이 한 데 모이는 도쿄 올림픽을 강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평가다.
일단 일본 정부에서는 도쿄올림픽을 준비한 일정(7월 26일 개막)대로 개최한다는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4일 정례기자회견에서 "일본 정부는 예정대로 도쿄올림픽이 개최되도록 IOC, 올림픽조직위, 도쿄도와 긴밀히 협력해 준비를 착실히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일부 위원들은 연기 가능성 등을 언급하고 있으나 바흐 위원장과 IOC 차원에서는 현재까지 도쿄올림픽과 관련한 변동사항은 없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코로나19 공동대응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WHO가 경계 수준을 최고로 높일 경우 IOC로써도 강행의 명분을 잃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팬데믹은 WHO가 내릴 수있는 최고 단계의 경계 수위로, 1968년 홍콩 독감사태와 2009년 6월 인플루엔자 A 사태 등 단 두 차례만 발동됐다.
2009년 인플루엔자A 창궐 당시 마거릿 챈 WHO 사무총장은 팬데믹을 선포하며 국제사회에 "각국은 제한된 공중 보건인력과 의료자원을 감염자의 전수 확진과 방역에 소모하지 말고 이를 중증 환자와 비전형적 발병사례 감시·치료에 집중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처럼 최고 권위의 국제기구가 국경 간 이동과 접촉을 최소화하고 자국 내 감염자 치료에 집중하라고 지시할 경우 IOC나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로써도 올림픽 강행의 명분을 잃을 수밖에 없다. 확산저지 역량을 환자 치료에 집중하라는 경고가 나올만큼 최악의 상황에서 글로벌 감염 위험을 키우는 국제스포츠 행사 개최를 강행한다는 것부터 올림픽 정신과도 맞지 않은 상황이다.
무엇보다 IOC 의지와 무관하게 206개 참가국 중 상당수가 WHO의 최고경고 수준에 따라 자국 선수들을 올림픽에 내보내지 않을 가능성도 크다.
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최근 자신의 트위터에 코로나19의 확산 위험성과 관련해 "지역사회 전파가 이렇게 잘 이뤄지는 호흡기 계통의 병원체는 예전에 본 적이 없다"는 글을 올려 주목을 받고 있다. 과거 전염병과 비교할 수 없을만큼 빠른 전파 속도를 언급하며 최고 경계단계인 팬데믹 선언이 임박했음을 시사한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한편 일본 내 코로나19 확진자는 4일 1000명을 돌파
[도쿄 = 정욱 특파원 / 서울 = 이재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