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 최고 실세였던 거셈 솔레이마니 사령관의 공습 사망으로 미국에 '가혹한 보복'을 예고한 이란 정부가 어떤 대응 옵션을 선택할지 주목됩니다.
구체적으로 이란이 자국 동맹 세력을 동원해 중동 지역에 혼란을 일으키거나,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는 방안에서 사이버 공격까지 다양한 보복 카드가 거론되고 있다고 AFP통신이 현지시간으로 어제(3일) 소개했습니다.
물론 전면적인 군사 보복에 나설 수도 있지만, 그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첫 번째는 역내 동맹 세력을 통한 맞대응입니다.
대표적으로 예멘의 친이란 후티 반군과 이라크 시아파 민병대, 레바논의 시아파 무장정파 헤즈볼라 등을 이용해 중동 전역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이란과 미국의 주요 접전지로 꼽히는 이라크에서 모종의 움직임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AFP통신은 이라크 민병대가 자국 내에 주둔한 미군을 몰아내고 이라크 정부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새로운 국내 정치적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미국 중동연구소의 알렉스 바탄카도 "현재 이라크에 주둔한 미군에 큰 압력이 가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습니다.
이란이 또 원유 수송로를 봉쇄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앞서 이란은 미국과의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원유 수출로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 카드를 꺼내 이 수로를 지나는 미국과 그 우방의 상선을 억류·공격해왔습니다.
국제유가도 최근 솔레이마니 사령관의 사망 이후 중동산 원유 공급 차질에 대한 우려로 4% 이상 치솟았습니다.
프랑스의 테러 전문가 장 샤를 브리사르는 "이란이 과거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는) 선박을 공격하거나 억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면서도 실제 봉쇄 가능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고 평했습니다.
대대적인 사이버 공격도 이란이 선택할 수 있는 보복 카드 중 하나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란이 그간 서구의 주요 사이버 인프라를 겨냥한 공격 능력과 맹목적 충성을 맹세한 '사이버 군대'를 양성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안보 전문가 로익 구에조는 이란의 사이버 공격이 댐이나 발전소 같은 산업 인프라에 피해를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서 단전이나 가스 누출 사고 등에 대한 우려를 표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