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의 새로운 중거리 미사일이 배치되지 않도록 한국과 일본에 경고했다고 일본 언론이 전했다ㅏ.
아사히신문은 19일 미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지난 8월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일 외교장관 회담 때 이런 입장을 밝혔다면서 INF 조약 실효 후에 미국의 대중(對中) 억제정책을 경계하는 중국이 한일 양국에 압력을 가한 모양새라고 분석했다.
보도에 따르면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고노 다로 당시 일본 외무상(현 방위상)을 별도로 만난 자리에서 INF 문제를 언급하며 "일본에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이 배치되면 양국 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왕 국무위원은 강경화 외교장관과의 회담에서도 같은 취지의 입장을 전달했다.
강 장관은 왕 국무위원의 발언에 대해 "중국은 우선 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국 배치에 따른 보복 조치를 중단해야 한다"는 답변으로 대응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고노 당시 외무상은 일본 배치 가능성을 언급하지 않은 채 "중국의 미사일이야말로 일본을 사정권에 두고
다만 일본 외무성 관계자는 일본에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이 배치될 가능성에 대해 "아직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았다는 것이 공식 답변이다. 미군의 (중거리) 미사일 실전 배치는 5년 후가 아닌가"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