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홍콩과 마카오 등 동남아 지역 무역결제에서 달러와 유로 대신 위안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
위안화를 국제 기축통화로 키우려는 야심을 드러낸 것이지만, 시간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입니다.
이무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중국이 자국 통화 위안화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작업을 착착 진행 중입니다.
지난 24일 중국 국무원은 성명을 통해 홍콩과 마카오와의 출입 거래에서 기존의 달러와 유로 대신 위안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
중국과 홍콩 사이의 통화스와프 협정이 타결된 데 따른 후속조치입니다.
국무원은 또 중국 남부지역인 광시 자치주와 윈난성 기업에게도 아세안 10개 회원국과 무역 거래에서 위안화 결제를 허용했습니다.
이들 지역도 그동안 무역거래는 대부분 달러로 이뤄져왔습니다.
지난해 중국과 홍콩 그리고 아세안 10개국 사이의 무역액은 각각 2,000억 달러 안팎이어서 전체 무역액 가운데 20%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야심찬 계획에도 불구하고 위안화가 국제 기축통화가 되기까지는 적어도 10년은 걸릴 거라는 부정적 시각도 제기됐습니다.
우선 자유로운 환전이 안된다는 게 가장 큰 걸림돌입니다.
중국은 국제자금의 대량 유출입을 걱정해 환전 금액에 제한을 두거나 무역 증빙서류 제출을 의무화 하고 있습니다.
또 위안화 유통지역도 아직 동남아와 몽골 북한 등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한 지역에 편중돼 있다는 것도 기축통화로서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중국 국무원 발표에서 무역결제가 허용되는 구체적 시기나 방식은 밝히지 못한 것도 이런 결함을 스스로도 인식하고 있다는 반증입니다.
mbn 뉴스 이무형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