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트럼프 "미중 무역협상 1단계 합의" [사진 = 연합뉴스] |
블룸버그통신은 로스 장관이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와 인터뷰에서 "유럽연합(EU), 일본, 그 외 다른 나라와 좋은 대화를 가졌다"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를 부과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로스 장관은 "우리의 희망은 자본투자 계획에 대해 개별 기업과 가져온 협상이 (무역확장법) 232조를 완전히는 물론 부분적으로도 시행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충분한 결실을 보는 것"이라고 밝혔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안전을 위협한다고 판단되면 긴급하게 수입을 제한하거나 고율의 관세를 매길 수 있도록 한 조항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수입차와 부품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토대로 5월 18일까지 고율 관세 부과 검토를 지시했지만, 결정 시기를 180일 한 차례 연장해 이달 13일이 시한이다.
당초 고율 관세 부과 대상으로는 EU,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도 거론됐지만 한국은 지난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정 완료 등을 고려해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는 관측이 높았다.
로스 장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이달 중 중국과 1단계 무역합의 서명 가능성에 대해서는 낙관론을 피력했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오는 12월 16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15%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유예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히 하지 않았다. 1단계 이후 협상은 중국 측 입법과 집행 메커니즘을 포함한 것들에 달려있다면서 그런 것이 없다면 지금까지의 것들은 종이 더미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중국 기업 '화웨이'가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