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신조 일본 총리가 6월 열리는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개별 회담을 추진하지 않는 쪽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베 정권이 그동안 위기에 처했을 때마다 활용해 온 '한국 때리기'나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과 강제징용 판결 등 양국 현안에서 양보를 끌어내려는 노림수처럼 보입니다.
이상주 기자입니다.
【 기자 】
오는 6월 오사카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서 미국과 중국 러시아 정상과 개별 양자회담을 추진하고 있는 아베 총리가 문재인 대통령은 리스트에서 제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교도통신은 "아베 총리가 문재인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미루는 쪽으로 검토에 들어갔다"며
"강제 동원 노동자들에 대한 배상 청구 문제 등을 놓고 볼 때 '문 대통령에게서 얼어붙은 일한관계 개선을 위한 의사를 느낄 수 없다'"고 전했습니다.
두 정상 간의 만남은 작년 9월이 마지막이었습니다.
성사 가능성이 높아 보였던 오사카 한일 정상회담이 불투명해진 데에는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한국의 'WTO 승소' 결과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 인터뷰(☎) : 김현욱 / 국립외교원 교수
- "WTO패소 후 일본 내 반한 분위기, 아베 정부에 대한 비판적 분위기가 많습니다. 매달리지 않고 오히려 냉대를 함으로써 지지율을 확보하겠다. 또 한국을 압박해서 양보를 얻어내겠다."
자국에서 비판론에 직면한 아베 총리가 여론의 화살을 한국 쪽에 돌리려는 노림수로 읽힌다는 겁니다.
일본 언론은 한국이 강경 자세를 누그러뜨리거나 북한 문제 등에서 정세 변화가 생긴다면 필요에 따라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습니다.
MBN뉴스 이상주입니다.
영상편집 : 송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