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현지시간으로 1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신년사에 대해 "논평할 기회를 사양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가 논평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은 다소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져 그 배경이 주목되고 있습니다.
미국 현지시간으로 1일이 공휴일인데다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중이라는 점, 내부 조율이 필요한 점 등을 감안해 입장을 내는데 하루 이상 걸릴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국무부는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 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우리의 목표는 싱가포르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약속했던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북한의 비핵화(FFVD)",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한 약속이 이행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등 원론적 입장을 반복적으로 밝혀왔습니다.
제재 문제에는 "트럼프 대통령은 비핵화 이후 제재 해제가 뒤따르리라는 것을 분명히 했다. 북한 비핵화가 빨리 이뤄지면 제재도 빨리 해제될 것"이라며 '선(先) 비핵화-후(後) 제재완화' 원칙을 견지해왔습니다.
로이터통신은 백악관도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보도했습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조선중앙TV 등 방송을 통해 발표한 육성 신년사에서 "앞으로도 언제든 또다시 미국 대통령과 마주 앉을 준비가 되어 있으며 반드시 국제사회가 환영하는 결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위원장은 그러면서도 "미국이 세계 앞에서 한 자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