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트럼프 대통령(오른쪽)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사진=MBN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어제(7일)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이 잘 되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미국으로 초청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북미정상회담에서 종전 관련 합의에 서명할 수 있다고 밝혔으며, 북한이 필요한 조치들을 완료한다면 북미간 국교를 정상화할 수 있다며 '선 비핵화-후 국교정상화' 방침을 시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미·일 정상회담 후 백악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회담이 잘 된다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미국으로 초청할 것이냐'는 질문에 "회담이 잘 된다면 (초청이) 잘 받아들여질 것이고, 그(김정은)가 매우 호의적으로 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미국으로 초청할 경우 그 장소가 백악관이냐 아니면 플로리다 팜비치에 있는 트럼프 대통령 소유 휴양지인 마러라고이냐'는 질문에 "아마도 우리는 백악관에서 먼저 시작할 것이다.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되물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종전선언에 대한 질문을 받고 "우리는 (북미정상회담에서) 한국전쟁 종전에 대한 합의에 서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며 "우리는 상황을 보면서 그들(북한)과 그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다른 많은 사람과도 이야기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것은 진짜 시작이다. 약간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그것은 아마도 쉬운 부분이고 그 이후에 어려운 부분이 남아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의 국교 정상화 문제와 관련, "국교 정상화는 내가 원하는 무언가이다"라면서도 "모든 것이 갖춰줬을 때 하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분명히 그것(국교 정상화)을 하길 원한다"며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한국과 일본이) 가서 그들(북한)을 경제적으로 매우 크게 도울 것이라는 걸 나한테 강하게 이야기해왔다. 중국도 또한 도울 것"이라면서 "다른 한편으로 우리는 매우 매우 멀리 있다"며 경제적 지원은 한·중·일이 주도할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은 이미 그들의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그들은 매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북한을 위해 여러 가지 요소들이 준비돼 가고 있다"며 "북한은 위대한 주민들이 있기에 엄청난 잠재력이 있다. 우리는 분명히 국교 정상화를 보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의 비핵화는 남한과 북한 등 모든 한국, 그리고 이 세계의 모든 사람을 위한 번영과 안전, 평화의 새로운 시대로 우리를 안내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다가오는 싱가포르 정상회담이 북한과 세계를 위해 실로 밝고 새로운 미래를 가져다줄 것을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 납북자 문제도 이번 정상회담에서 거론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백악관을 예방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을 통해 전해 받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에 대해서는 "단지 안부 인사 내용이었다"며 "매우 따뜻하고 매우 좋은 편지였다. 매우 고맙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당신을 보기를 고대한다. 우리는 정상회담을 고대한다. 멋진 일들이 일어나길 희망한다'라는 내용 이외에 다른 것은 없었다고 친서 내용을 소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일 정상회담에 대해 "오늘 매우 생산적이고 소중한 논의를 했다"면서 북미정상회담 등과 관련해서는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이어 "앞으로 몇 주간 납북자 문제를 포함해 매우 긴밀한 의사소통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