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기간 내내 강경한 대북 메시지를 보내며 북한 인사들과 접촉을 피했던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미국으로 돌아가면서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열었다.
펜스 부통령은 11일(현지시간) 미국행 전용기 안에서 워싱턴포스트(WP)의 칼럼니스트 조시 로긴과의 인터뷰를 통해 대북 압박을 강화하겠다고 밝히면서 "대화를 원하면 대화하겠다"며 "최대의 압박 전략과 관여를 동시에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펜스 부통령이 귀국길에서는 '대화'를 강조하는 태도 변화를 보인 것이다.
로긴은 펜스 부통령의 이러한 언급 배경을 놓고 그가 문재인 대통령과 2차례의 실질적인 대화를 통해 한미가 북한과의 추가적인 (외교적) 관여를 위한 조건에 합의했으며, 이 조건은 한국이 먼저 대북 관여에 나서고 미국도 뒤따를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로긴은 문 대통령이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실질적인 단계를 밟지 않는 한 다시 대화 테이블에 앉는 것만으로는 북한에 경제·외교적 혜택을 주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분명히 한 점이 펜스 부통령으로 하여금 평창 이후 외교적 해법에 기대를 걸게 한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김여정 북한 중앙위 제1부부장이 문 대통령에게 북한 방문을 요청했으나 문 대통령이 즉답하기보다는 "여건을 만들어 성사시키자"며 사실상 미국과의 긴밀한 소통과 조율에 방점을 찍은 점을 펜스 부통령이 주목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로이터 통신은 이처럼 압박 속에서 대화 가능성을 동시에 열어놓는다는 점을 근거로 "펜스 부통령이 북미 대화 전망을 키웠다"고 보도했다.
이 통신은 '미국이 대북 외교를 놓고 엇갈리는 신호를 보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미국이 궁극적으로 미국과 북한과의 대화를 염두에 두고 올림픽 이후 남북 간의 관여를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북한이 협상에 나서고 핵무기 프로그램을 끝내도록 하기 위한 제재는 강화돼야 한다는 점도 한국과 합의했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 통신 역시 같은 이유로 펜스 부통령이 정책 변화를 암시했다고 지적했으며, CNBC방송은 펜스 부통령이 취한 이러한 전략이 북한의 공세적인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해결하기 위한 트럼프 행정부의 시도에 있어 중대한 변화를 보여준다면서 경제제재라는 과거의 시도와는 다르다고 분석했다.
다만 큰 틀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에 변화가 있는지는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