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네디 암살 기밀문서 수천건 내주 공개…트럼프 "허용할 것"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의 암살 관련 기밀문서 수천여 건이 다음 주 공개됩니다.
이번 정보 공개는 지난 1992년 제정된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기록수집법'이 관련 문서 공개 시한을 2017년 10월 26일로 규정한 데 따른 것입니다.
일부 문서가 미국의 정보 활동과 관련됐을 수 있다는 정부 내 우려 때문에 전면 공개가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있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트위터에서 "대통령으로서 오랫동안 차단된 채 기밀로 분류됐던 JFK 파일들의 개봉을 허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문서 공개의 범위를 대폭 넓히겠다는 의사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되고 있고, 일각에선 전면 공개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대선 당시 참모로 활약했던 핵심 측근 로저 스톤도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련 정보의 일부를 비공개로 하는 것보다는 모든 문서를 일단 투명하게 세상에 내놓는 게 낫다고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다만 국가안보회의(NSC)를 비롯한 안보 당국은 여전히 일부 문서가 현재 정보당국의 활동과 작전을 노출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기한 마감 직전 일부를 공개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내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에 대해 "(케네디 암살과 관련한) 남은 문서들을 모두 공개하겠다는 의사를 시사한 것 같다"면서도 "그러나 모든 문서를 완전히 공개할지, 아니면 일부는 편집한 채 공개할지는 명확히 하지 않았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 국가기록원은 문서 공개가 다음 주로 임박함에 따라 막판 준비 작업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케네디 전 대통령 암살 관련 기밀문서 공개가 처음은 아니지만, 사후에도 미국인의 사랑과 관심을 받아온 전직 대통령인 만큼 이번 역시 상당한 관심을 끌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암살 배경 등을 놓고 여러 가지 음모론이 끊이지 않아 왔다는 점에서 문서 공개 이후 새로운 논란이 일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미국인들은 케네디 암살 이후 음모론을 믿는 여론이 오랫동안 70% 이상을 기록했을 만큼 오즈월드의 단독 범행이라는 정부 발표를 믿지 않았습니다. 서거 50주년이었던 지난 2013년 발표된 갤럽 여론조사에서도 여전히 60%
케네디 전 대통령은 지난 1963년 11월 22일 텍사스주 댈러스 시내에서 카퍼레이드를 벌이던 도중 암살범 리 하비 오스왈드의 흉탄에 절명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