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락가락' 대북정책에 대해 미국 조야에서 불안감이 부상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8월 31일(현지시간) 미국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군사적 행동에 나설 가능성보다는 북한 김정은과의 '위험한 거래'에 나설 우려가 더 크다고 보도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의 대화는 북한의 핵 보유국 지위를 인정하거나 한·미 연합훈련을 축소하는 단초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한국 일본과의 동맹을 약화시키고 동북아 질서를 혼란케 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대니얼 러셀 전 국무부 차관보는 "북한이 얻어내려고 하는 것은 긴장을 최고조로 끌어올린 뒤 평화협정 제안으로 국면을 전환하는 것"이라며 "북한은 자신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북미 직접 대화를 시작하기 위해 미국을 흔들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말려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다른 전문가들은 북한과의 외교적 접근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독단적이고 예측불가능한 행동이 우려스럽다고 진단했다.
NYT는 또 허약한 외교 참모진이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접근을 더욱 어렵게 한다고 지적하고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와 주한 미국대사를 임명하지 않은 것을 지목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상근직 대북인권특사의 직위를 격하하기로 한 것을 비판했다. 북한에 대한 압박 수단으로 군사적 우위와 경제제재 그리고 인권압박이 중요한데 그 한 축인 인권압박의 기능을 축소시켰다는 것이다.
미국 정치권에서도 여·야 막론하고 대북인권특사 기능 축소는 우려스럽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한편 북한이 지난 29일 일본 상공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화성-12형 미사일의 후추진체(PBV)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라는 전문가 진단이 제기됐다. 후추진체 시험이 사실이라면 북한의 도발이 단순한 시위가 아니라 실제로 미국 본토를 공격하기 위한 미사일 능력 확보를 추진 중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국의 미사일 전문가인 마이클 엘먼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선임연구원은 8월 31일 '38노스' 기고문에서 북한의 후추진체 시험 가능성을 제기했다. 후추진체는 탄도미사일의 동력이 소진된 후 추가로 미사일에 동력을 공급하는 장치다. 핵탄두를 더 멀리 보낼 수 있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어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후추진체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북한이 지난 5월 화성-12형 시험발사 때는 후추진체를
공해 상에서 미사일이 3조각으로 갈라졌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 역시 화성-12형에 후추진체를 부착했음을 입증한다.
[워싱턴 = 이진명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