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이 시장의 예상을 웃도는 6.9%를 기록했다.
중국 경제는 2분기에도 1분기와 동일한 상승폭을 이어가면서 중국 정부가 내세우는 올해 성장률 목표치 '6.5% 정도'를 무난하게 달성할 것으로 관측된다. 성장률 6.9%로는 2015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중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보다 6.9% 늘었다고 17일 발표했다. 이는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6.8%)보다 0.1%포인트 높은 수치다. 2분기 경제는 전분기 대비로는 1.7% 성장했다.
호조세인 수출과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탄탄한 내수가 중국 경제의 '깜짝' 성장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블룸버그는 "세계 무역과 국내 소비 증가로 제조업 생산이 늘면서 중국 경제가 성장 모멘텀을 이어갔다"고 분석했다.
이날 국가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6월 산업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해 시장 예상치(6.5%)를 크게 웃돌았다.
소매판매도 11% 증가해 전망치(10.6%)를 상회했다. 올 상반기 고정자산 투자는 8.6% 증가해 예상치(8.5%)를 넘어섰다. 상반기 수출은 15.0% 늘어난 7조2097억 위안였고 수입은 25.7% 증가한 5조9315억 위안을 기록해 무역수지는 1조2782억 위안 흑자였다.
국가통계국은 "국제적으로 불확실 요인들이 많고 국내적으로도 장기간 누적된 구조적 모순이 두드러졌지만 중국경제는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연중 목표 초과 달성을 위한 기반이 굳어졌다"고 말했다.
다만 부채와 부동산은 중국 경제에 불확실성을 주는 요소로 꼽힌다. 중국의 총부채는 지난 5월 현재 GDP 대비 304%데 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중국은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중국 정부가 단속에 나섰지만 투기 광풍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도부의 권력 교체가 이뤄지는 19차 당대회를 앞두고 금융 시스템 관리와 공급측 구조개혁 등 위기 관리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하반기 중국 경제 성장률은 6.5% 이하로 둔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중국 대도시들의 최저임금이 잇달아 인상되고 있어 주목된다. 올해 들어 중국 전체 31개의 성(省)·직할시(市) 가운데 11개 지역에서 최저임금을 올렸다. 상하이의 매월 최저임금이 2300위안(약 38만3300원)으로 가장 비싸고 이어 선전(2130위안·약 35만5000원), 톈진(2050위안·약 34만1600원), 베이징(2000위안·약 33만3300원) 등을 기록하며
중국은 3년에 한번 최저임금을 개정하고 있으며 지난 4월부터 지역별 최저임금을 인상해 공표하고 있다.
[임영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