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한반도 유사시에 대비해 상황별로 4단계에 걸쳐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체류 일본인의 대피 방안과 단기체류 일본인의 방문 자제 요청 등 구체적인 방안이 포함되면서 위기감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7일 일본 정부가 북한의 도발행동으로 인해 한반도에서 긴장상태가 고조될 경우 6만명에 달하는 한국 체류 일본인에게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단계별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1단계는 일본인이 위험에 빠질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다. 북한이 한국에서 테러 등을 모색한다는 내용이 사전 감지될 경우 외무성이 홈페이지 등을 통해 한국 방문 자제 메시지를 전하게 된다. 단기 체류자를 최대한 줄이려는 의도다.
2단계는 1단계보다 위험 정도가 높아진 상황으로 한국과 북한에서 총격전이 벌어지는 경우를 가정한다. 외무성은 영사관을 통해 한국 체류 일본인에게 고령자, 여성, 아이, 환자 등을 조기 귀국시키도록 호소할 방침이다.
3단계는 위험이 임박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로 정부가 대피와 여행 중단을 권고한다. 미군이 북한에 공중폭격을 개시할 경우 즉각 3단계가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대사관 직원을 공항으로 파견해 민간기를 이용한 한국 탈출을 지원할 방침이다. 민간기 이용이 어려울 경우 정부 전세기를 동원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대피 권고는 지난 4월 미국의 시리아 공군기지 폭격 이후 내려져 있다.
북한이 대규모 반격에 나서고 한국 정부가 민간기 안전을 확보할 수 없어 공항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최고 등
[박대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