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설을 하다 뜬금없이 "어젯밤 스웨덴에서 테러가 일어났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당사국인 스웨덴을 황당하게 만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멜버른에서 열린 지지자 집회 연설에서 중동 난민을 수용하는 정책을 비판하다 "어젯밤 스웨덴에서 일어난 일을 보라"며 "이런 일이 스웨덴에서 일어났다고 누가 믿겠느냐"고 발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브뤼셀에서, 전 세계에서 일어난 일들을 봐라. 니스 사건을 보고 파리 사건을 보라"고 말해 스웨덴을 최근 테러가 일어난 국가의 도시들과 같은 선상에 놓았다. 마치 전날 밤 스웨덴에서 테러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를 준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스웨덴을 어리둥절케 하고 있다. 스웨덴 외교부의 카타리나 엑셀손 대변인은 "스웨덴 정부는 테러와 관련된 어떤 중대한 사건도 알지 못한다"고 밝혔고, 스웨덴 경찰도 "테러 위협을 상향 조정할 만한 어떤 일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가장 발끈한 사람은 칼 빌트 전 스웨덴 총리였다.
빌트 전 총리는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스웨덴? 테러 공격? 그(트럼프 대통령)가 무슨 약을 하고 있었던 건가?"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제정신이 아니라고 비판했다.
논란이 커지자 트럼프 대통령은 해명에 나섰다. 그는 트위터를 통해 "스웨덴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내 발언은 '이민자와 스웨덴'을 주제로 폭스뉴스에서 방송했던 한 이야기에 대한 것"이라 밝혔다.
당시 폭스뉴스에는 이민자 때문에 스웨덴에 강간 범죄가 늘었다고 주장하는 아미 호로위츠 영화감독의 관련 작품이 소개됐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스웨덴 관료들이 "강간 범죄율이 상승해온 건 더 많은 피해자들이 신고를 했기 때문이지, 실제 범죄율이 증가했기 때문은 아니다"라고 호로위츠 감독을 비판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러시아 내통 의혹, 반(反)이민 행정명령 후폭풍 등으로 위기에 처한 트럼프 대통령을 두고 '탄핵론'이 불자 민주당이 "수사에 집중하자"며 진화에 나서고 있다. 물증도 없이 밀어붙이다 '탄핵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최근 맥신 워터스, 제이미 라스킨 등 몇몇 민주당 하원의원들이 트럼프를 탄핵시켜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거나 탄핵을 요구하는 서명을 받는 등의 행위로 논란을 빚고 있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민주당은 이같은 섣부른 탄핵론이 공화당의 결집을 이끌거나 반대만 외치는 당으로 보여지진 않을지 우려하고 있다.
하원 정보위원회 소속 에릭 스왈웰 하원의원은 트럼프 대통령과 러시아와의 관계에 대해 "많은
[안정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