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미국의 핵 능력 강화·확장 방침을 밝히면서 러시아와 핵 경쟁 체제 돌입 논란이 일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22일(현지시간) 트위터 계정을 통해 “미국은 세계가 핵무기에 대한 분별력을 갖게 되는 시점까지는 핵 능력을 큰 폭으로 강화하고 확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과 더불어 양대 핵 강국인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최근 핵 전투력 강화 방침을 밝히자 곧장 맞선 것이다.
트럼프 당선인의 이 같은 발언은 푸틴 대통령이 핵 전력 강화를 강조한 것으로 알려진 지 몇 시간 만에 나왔다.
이에 따라 미국과 러시아가 과거 냉전시대의 핵무기 경쟁 체제로 재돌입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이날 오전 모스크바에서 국방 문제에 대해 연설하며 “전략 핵무기부대의 전투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특히 현존하거나 앞으로 개발될 미사일 방어체계를 돌파할 수 있을 정도로 미사일의 성능이 강화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힘의 균형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특히 러시아 국경을 따라 형성되는 정치·군사적 상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면밀히 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양국이 핵무기의 수와 크기를 줄기 위해 수십 년에 걸친 노력을 되돌릴 수 있는 새로운 군비 경쟁의 망령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과 옛 소련이 지난 1980년대 후반부터 이어온 핵무기 감소 추세가 증가세로 돌아서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WP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추구하는 ‘핵무기 없는 세상’ 정책이 그대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킨다”고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2009년 4월 체코 프라하에서 연설을 통해 ‘핵무기 없는 세상’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세계를 핵전쟁의 위협에서 해방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어 미·러는 지난 1991년 체결돼 만료된 전략무기감축협정을 대체할 후속협정 협상을 1년 만에 마무리짓고, 이듬해 양국 정상이 참석한 가운데 조인식을 가졌다.
새 협정은 장거리 핵탄두를 2200기에서 1600기로 줄이고, 지상과 해상에 배치된 미사일을 1600기에서 800기로 감축하는 내용을 담았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은 지난 10월 “미국의 러시아에 대한 비우호적 행동으로 전략적 안정성에 대한 위협이 생기고 있다”며 미국과 체결한 무기급 플루토늄 관리 및 폐기 협정(PMDA)을 잠정 중단하도록 지시했다.
또 그는 강경 후속 조치를 잇달아 내놓는 등 미국과 핵무기 경쟁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왔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
트럼프의 대변인 제이슨 밀러는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은 핵확산 위협에 대한 언급으로, 핵무기가 테러리스트들과 불안정한 불량 정권들에게 퍼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의미”라고 해명했다.
[디지털뉴스국 박소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