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 총수들이 대거 출석한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국회 청문회에 주요 외신들도 높은 관심을 보였다.
재벌 총수들이 동시에 국회 청문회에 나오는 것은 이례적이라는 것이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국정조사에 재벌총수 한꺼번에 출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보도했고, 블룸버그뉴스는 “공개석상에 등장하길 꺼리는 재벌총수들이 국회에 대거 등장하는 게 이례적인 일”이라고 전했다. 외신들은 청문회 보도를 통해 구시대적인 한국의 정경유착 문화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며 이 문제를 집중조명했다. 이처럼 외신에 비쳐진 현재 한국 상황이 주로 부정적인 내용이 많아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이어지지 않을지 염려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6일 “한국에서는 기업이 정부정책을 후원하는 대신 특혜를 받는 관행이 수십년째 깊이 배어있었다”고 “정경유착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대규모 촛불시위를 이끌어냈다”고 전했다. 특히 WSJ는 전국경제인연합회를 ‘사설 로비 그룹(private lobbying group)’으로 표현하며 “전통적으로 한국의 공직자들은 전경련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고 비판했다.
로이터통신은 “한국 경제는 오랜기간 정부와 유착한 재벌의 지배를 받아왔다”며 “한국전쟁 후 황폐화된 국가가 도약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됐지만, 이제는 개혁이 필요한 순간”이라고 지적했다. 블룸버그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70년대에 재벌을 육성해 국가의 경제적 기적을 끌어낸 이후 한국 대통령과 기업들은 수십 년간 부패 혐의에 직면해 왔다”면서 “1988년 국회 청문회 때는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과 다른 기업인들이 전두환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일해재단에 자금을 지원한 사실이 드러났다”고 과거 사례까지 끄집어냈다.
외신들은 이번 정치혼란으로 기업활동에도 적지 않은 악영향이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WSJ는 “최순실 사태로 인해 한국의 재벌들은 사업계획을 수정하거나 중단해야 했으며, 이미 성사된 사업에 대해서도 검찰의 조사가 착수되고 있다”고 전했다. WSJ는 또 삼성이 2017년까지 임원인사를 미룬 것도 정치혼란으로 인한 불확실성에 기인했다고 해석했다.
로이터통신은 5일 “소환된 재벌들 중 범죄혐의를 갖고 기소된 이는 아무도 없지만, 국회밖 시위대들은 ‘재벌을 체포하라’
블룸버그는 조선과 철강 산업이 위험에 처해있고 가계부채가 재정 건전성을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 스캔들마저 터져나와 한국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안정훈 기자 / 박의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