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연합뉴스 |
미국 뉴욕에 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경호 예산이 뉴욕시의 고민거리로 떠올랐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이 내년 1월 20일 취임식 전까지는 뉴욕 맨해튼에 있는 트럼프빌딩 내 거처에서 머물 예정인데다가, 백악관에 들어가더라도 정기적으로 이 집을 찾을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열살인 아들 배런은 학교 문제 때문에 당장 백악관에 입주하지 않고 뉴욕에서 계속 살 예정이어서 지속적으로 경찰의 보호가 뒷받침돼야할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의 장성한 아들과 딸, 그리고 손자·손녀들까지도 경호 대상이라고 뉴욕 경찰청의 존 밀러 부청장이 말했습니다.
CNN방송은 21일(현지시간) 3명의 뉴욕 시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트럼프 일가'의 경호에 하루 100만 달러(11억8천만 원)가 넘는 시 예산이 들어간다고 보도했습니다.
빌 더블라지오 뉴욕시장은 지난주 기자회견에서 이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놓고 있다면서 "엄청난 일이다. 엄청나게 많은 자원이 투입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소요된 예산의 일부를 연방정부로부터 변제받는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통령이나 대통령 당선인 일가의 경호는 기본적으로 백악관 비밀경호국(SS) 소관입니다. 그러나 지역 경찰은 비밀경호국을 지원하는 임무를 갖습니다.
역대 대통령의 경우, 지역 경찰의 경호가 대통령이 잠시 고향이나 원래 살던 집에 들를 때 일시적으로 발생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의 경우, 설령 백악관으로 이주하더라도 다른 가족들이 뉴욕에 남아 있으므로 365일 경호 수요가 발생한다는데 경찰이 고민이 있습니다.
비용에 이어 '교통대란'에 따른 시민 불편도 일상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당선인이 머무는 맨해튼 5번가 주변
지난 18일 오후 러시아워 시간대에 맨해튼과 뉴저지 주(州)를 연결하는 하저터널인 링컨 터널 일대는 교통지옥이 됐습니다.
뉴저지 배드민스터의 자신의 골프클럽으로 향하는 트럼프 당선인을 경호하기 위해 경찰이 터널을 차단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