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이 12일 새로운 국장 채용을 발표하면서 우리나라는 AIIB 부총재 대신 국장급으로 만족하게 됐다.
홍기택(64) 전 KDB산업은행 회장은 지난 2월 AIIB 리스크담당 부총재(CRO)로 선임되며 AIIB 5명의 부총재 중 한 명으로 선임됐다.
한국이 국제금융기구 부총재를 맡는 것은 2003년 아시아개발은행(ADB) 이후 13년 만이어서 정부 안팎의 기대가 적지 않았다.
한국은 AIIB에 37억 달러(약 4조1092억원)가 넘는 출자금을 냈다. 한국의 지분율은 6월 말 기준 3.5%로 중국(26.06%), 인도(7.51%), 러시아(5.93%), 독일(4.15%) 다음으로 높았다.
출자금 규모가 고위직 선임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출자금 규모가 클수록 여러 회원국 사이에서도 제 목소리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자국 출신 인사를 고위직으로 선임하는 일이 수월한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한국이 부총재직 반사이익을 채 누리기도 전에 사달이 났다.
홍 부총재가 지난 6월 한 언론사 인터뷰에서 산업은행 회장 시절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채권단의 4조2000억원 지원 결정에 대해 “청와대·기획재정부·금융당국이 결정한 행위로, 산업은행은 들러리 역할만 했다”고 밝히면서다. 여기에 감사원도 산업은행 직무 태만의 책임자로 홍 부총재를 지목하면서 사태는 확산됐다.
논란 속에 열린 6월 25일 제1차 AIIB 연차총회에 홍 부총재는 불참한데
AIIB는 이후 약 2개월 만인 이날 회계감사국장에 유재훈 현 한국예탁결제원 사장을, 국제자문단에 현오석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선임을 발표했다.
한국으로선 부총재직을 잃은 대신 국장급과 자문관 자리를 얻은 셈이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