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완성차업체 폭스바겐의 디젤 차량 배기가스 조작 스캔들이 증폭되고 있다. 폭스바겐 수뇌부가 10여년 전부터 배출가스 조작 사실을 인지한 것으로 나타나 비도덕적 경영 행태에 기름을 붓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 등에 따르면 뉴욕 메사추세츠 메릴랜드 등 미국 3개주 검찰은 이날 마르틴 빈터코른 전 최고경영자(CEO) 등 폭스바겐 임직원들에 대해 미국에서 판매된 수만대 차량에 배기가스 조작 소트프웨어가 설치됐지만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 혐의로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이들 주의 검찰총장들은 폭스바겐의 배출가스 조작이 10년 넘게 이어진 조직적인 사기로 최고 상층부까지 연루됐다고 밝혔다. 특히 마티아스 뮐러 현 CEO도 2006년에 배출가스 이슈에 대해 보고받았다고 강조했다. 그가 디젤 스캔들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에릭 슈나이더먼 뉴욕주 검찰총장은 폭스바겐의 조작장치 이용이 “광범위한 모의에 의한 것”이라며 “교활하고 자기 이익만 생각한 사기행위”라고 비판했다.
뉴욕주가 법원에 제출한 소장에 따르면 지난 2006년 폭스바겐 자회사 아우디의 프로젝트 매니저였던 뮐러 CEO는 자사 디젤 차량이 미국의 배출가스 규정을 맞추기 힘들다는 기술적 어려움을 인지했다. 이에 엔지니어들은 이른바 ‘임의 조작장치’를 달아 환경테스트 조건에서만 배출가스를 일시적으로 줄이는 꼼수를 고안했다. 소장은 “결국 폭스바겐과 아우디는 엔지니어링에 시간과 돈을 더 들이는
폭스바겐은 일명 ‘디젤 게이트’로 미국에서만 150억달러(약 17조4000억원)를 배상키로 했다. 하지만 폭스바겐 고위직 임직원들에 대한 소송으로 폭스바겐은 추가적인 금전 손실뿐만 아니라 부도덕한 경영을 해왔다는 비판에 시달릴 전망이다.
[장원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