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이 세계 최초로 자율주행 모드를 탑재한 차량의 운행을 불허하기로 했다. 최근 미국과 일본에서 자율주행모드 차량이 잇단 사고를 일으켜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데 따른 것이다.
로이터통신은 10일 독일 연방자동차위원회가 테슬라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오토파일럿’ 기능이 완전하지 않은 베타 버전이라는 이유로 차내 적용을 불허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위원회는 “만약 베타 버전이 소프트웨어 불완전성을 의미한다면 자율주행 기능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독일은 자율주행 기능을 장착한 차량 적용을 불허하는 첫 국가가 된다.
테슬라도 지난 8일 독일 연방자동차위원회와 자율주행기능 사용문제를 협의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위원회는 검토 결과를 독일 교통부에 보고하게 된다. 로이터는 “자율주행모두 불가 방침은 독일이 유럽에서 가장 큰 자동차 시장인 만큼 테슬라로서는 향후 시장개척에 있어 부정적 의미가 크다”고 지적했다.
테슬라로 대표되는 자율주행차는 그동안 승승장구하며 장밋빛 미래를 꾸려왔다. BMW 등 세계의 유수 완성자동차업체를 비롯해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시장을 선점하려 치열한 격전을 벌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대차도 정부의 지원 아래 자율주행모드 경쟁에 뛰어들었다. 미국 시장조서업체 ‘네비건트 리서치’에 따르면 전세계 자율주행모두 자동차 비중은 지난해 2.7%에 불과했지만 2035년에는 75%로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할 전망이다. 글러다니는 자동차 4대 중 1대는 자율주행 기능을 갖추는 셈이다.
하지만 자율주행차의 안정성을 해결하지 않는 한 성장세가 꺾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자율주행차의 안정성 논란은 지난해에도 벌어진 바 있고, 해당 업체는 휘청 흔들리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구글은 지난해 5월 자율주행차 부문에서 최악의 위기를 맞았다. 구글은 지난해 5월 “지난 6년간 자율주행차를 약 280만km를 주행하면서 총 11건의 주행 사고가 일어났다”고 밝혔다. 이 중 3건은 지난 2014년 9월 이후 발생됐다. 구글은 11건의 사고 중 자사의 자율주행차가 가해차량으로 지목된 경우는 없었다고 밝혔지만 구글의 발표는 자동차 업계뿐만 아니라 소비자 단체의 불신을 일으켰다. 미국 비영리 소비자 단체 컨슈머 워치독은 구글의 발표 직후 “구글은 고속도로에서 운전자들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무인차 시범 주행에 나서고 있다”며 “모든 사회가 구글의 사고보고서를 통해 무인차 사고 원인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5월 발생한 사고 당시 운전자는 전방 주시 의무를 다하지 못한 채 영화 해리포터 감상에 몰두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테슬라의 책임이 없어진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 많다. 사고의 책임이 전적으로 운전자에게 있기 보다 안전 사양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제조사의 책임도 크다는 것이다. 댄 갈브스 모빌아이 커뮤니케이션 총괄은 미국 자동차매체 일렉트렉과의 인터뷰에서 “충돌 방지를 위한 긴급제동장치(AEB)는 오늘날 선행 차량의 뒷모습과 보행자만을 인식할 수 있다”며 “지난 5월 사고처럼 측면 물체에 대한 인식이 되지 않다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주요 외신들은 자율주행차의 ‘시기상조론’을 주장하고 있다. 그동안 자율주행차의 상용화에 비판적이었던 미국 일간 뉴욕타임즈를 비롯해 미국 컨슈머리포트는 “자동차 제조업자들이 말하는 자율주행차 안정성 검증은 믿을 수 없다”며 관련 상용화에 부정적 의견을 드러냈다.
결국 관건은 기술의 진보가 아니라 소비자들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 구축을 통한 안정성 구축이라는 점이다.
한편 ‘혁신의 아이콘’에서 ‘위기의 남자’로 전락한 엘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일급비밀의 테슬라 마스터플랜을 곧 발표하겠다고 밝
[장원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