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 세계 관광 명소에서 셀카(셀프카메라의 줄임말·셀피)나 사진을 찍다가 위험천만한 사고를 당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남들이 찍지 않는 위치나, 더 좋은 각도에서 멋진 사진을 남기려는 욕심 탓에 자칫하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만큼 무리한 셀카나 사진 촬영을 자제해야 한다는 우려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달 28일(현지시간) 한국인 관광객이 페루 아마존 밀림 지역에 있는 곡타 폭포에서 사진을 찍다가 중심을 잃고 540m 아래로 추락해 숨진 사실이 4일 알려졌다. 혼자서 배낭여행을 하다가 숨진 이 남성은 폭포 위에서 독일 관광객과 서로 사진을 찍어주다가 변을 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같은 달 29일에는 페루 중남부 안데스 산맥에 있는 잉카 후기의 유적지인 마추픽추에서도 독일 관광객이 셀카를 찍다가 추락사했다.
독일 국적의 올리버 파커(51) 씨가 출입제한 구역에 들어가서 셀카를 찍으려다가 300피트(약 91m) 절벽 밑으로 떨어져 숨졌다.
인도에서는 ‘남과 다른’ 셀카 사진 욕심 탓에 운동선수가 유명세를 치르기도 했다.
인도의 크리켓 선수인 라빈드라 자데자(27)는 아내와 함께 멸종 위기 동물인 인도사자를 배경으로 찍은 셀카 사진을 소셜네트워크(SNS)에 올렸다가 사진이 급속히 퍼지면서 급기야 인도 산림 당국의 조사까지 받았다.
SNS에서 더 많은 ‘좋아요’를 받기 위해 새롭고 짜릿한 사진을 찍으려다가 범죄자가 되기도 한다.
지난 5월 포르투갈의 한 기차역에 전시돼 있던 조각상 문화재가 무리한 셀카 탓에 산산조각이 났다. 부서진 조각상은 16세기 중반 포르투갈을 통치했던 돔 세바스티앵 왕의 형상으로, 126년이나 된 문화재였다.
한 관광객이 셀카를 찍으려 조각상 옆쪽으로 올라간 뒤 사진을 찍는 순간 중심을 잃으면서 조각상과 함께 넘어져 버린 것이다. 이 관광객은 도망가다가 경찰에 붙잡혔고 재판에 넘겨졌다
세계 각국은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러시아는 지난해 “‘SNS 좋아요’ 100만 건도 당신의 생명만큼 값지지 않다”는 표어를 내걸고 각종 캠페인을 벌였다. 미국 공원관리 당국은 방문객들이 야생동물과 위험한 셀카를 찍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원출입 통제에 나서기도 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