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가을 미국 대선 본선에서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과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가 맞대결하는 시나리오가 가시화되고 있다.
두 주자는 특히 성별만큼이나 너무나 대조적인 ‘극과 극’의 면면을 보이고 있다. ‘인권변호사’와 ‘부동산 재벌’이라는 출신 배경에서부터 ‘주류’와 ‘아웃사이더’라는 정치적 위상, ‘흑인 진보층’과 ‘백인 보수층’이라는 지지기반, ‘개입주의’와 ‘고립주의’에 기반한 세계관에 이르기까지 극명한 차별성을 보인다.
두 주자의 공약이 극단으로 갈리는데에는 경선과정이 그만큼 치열했던 영향도 크다. 클린턴은 당내 진보층을 겨냥해 더 ‘왼쪽’으로, 트럼프는 보수층을 의식해 더 ‘오른쪽’으로 움직이려는 경향이 강해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동맹들과 어떤 관계를 유지할 것이냐를 놓고 클린턴과 트럼프의 입장이 확연히 갈리고 있다. 개입주의자인 클린턴은 동맹국들과의 공조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확대해나가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반해, 트럼프는 현재의 동맹이 ‘불공정한 책임분담’ 구조라고 강조하면서 동맹국이 더 많은 부담을 하는 쪽으로 동맹의 관계를 재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이 주도하는 비확산 체제를 놓고도 두 후보의 시각이 확연히 갈린다.
클린턴은 더이상 핵무기 개발이 이어지지 않도록 비확산 체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에, 트럼프는 상황에 따라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의 핵무장을 용인할 수도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놓았다.
클린턴은 가능한 제재와 압박수단을 동원해 북한을 이란처럼 협상의 장으로 이끌어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트럼프는 북한 자체를 직접 상종하지 못할 대상으로 인식하면서 중국을 통해 북한을 고립 또는 봉쇄해야 한다는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클린턴은 지난해 6월 펴낸 회고록 『힘든 선택』에서 “북한이 검증가능한 방법으로 완전히 핵무기를 제거하는 경우 관계정상화와 경제적·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 고립이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트럼프는 북한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을 ‘미치광이’(maniac)에 비유하면서 지난 2월 폭스비즈니스 방송에 나와 “중국 만이 김정은을 사라지게 만들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클린턴은 ‘중산층 복원’을 내세우며 부자증세와 함께 투기자본과 불로소득에 확실한 과세를 하겠다는 입장이다. 연소득 100만 달러가 넘는 경우 최소 30% 세율을 부과하고 연소득 500만 달러가 넘는 경우에는 4% 할증 과세하는 방안이 부자증세 골자다.
특히 주식 단타매매와 부동산 단기보유 자산에 대한 자본이득세를 강화하고 기업이 노동자에게 주는 이익의 15%에 대해서는 2년간 세액공제를 해주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이에 대해 트럼프는 기업과 부자에 대한 감세방안을 내놓았다. 트럼프는 소득 최상위 계층의 세율을 39.6%에서 25%로 대폭 인하하고 개인소득 2만 달러, 부부합산 5만 달러의 저소득층에게는 연방 소득세를 모두 면제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상속세와 법인세도 각각 폐지하거나 감축한다는 입장이다. 월스트리트의 헤지펀드 매니저에 대해서도 세금을 물리기로 했다. 세금감면으로 줄어드는 세원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는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제도를 폐지하거나 감축해 충당하겠다고 공언했다.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 후보는 대통령이 되면 임기 100일 내에 이민개혁법안을 최우선으로 추진하겠다고 공약했다. 이 법안은 1100만 명의 서류미비자들을 구제하는 내용을 담고
트럼프는 불법 이민자들로 인해 테러와 범죄가 발생하고 미국인들의 일자리를 빼앗겼다는 주류 백인들의 편견에 부응해 반 이민정책을 펴고 있다. 특히 트럼프는 멕시코 불법이민자를 막기 위해 멕시코 국경에 장벽을 설치하겠다고 공언해 왔고 불법이민자 추방군을 창설하겠다고도 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