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우버, 리프트, 포드, 볼보가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점을 앞당기기 위한 관련 규정 마련에 공동으로 나서기로 했다.
26일(현지시간) 이들 5개사는 ‘더 안전한 거리를 위한 자율주행 연합(The Self-Driving Coalition for Safer Streets)’을 결성하고 자율주행 표준 마련과 각종 규제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포털과 택시업체 그리고 자동차업체가 삼각협력을 통해 자율주행차 운행에 필요한 제도적 여건을 선제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포털업체 구글은 인터넷과 클라우드서비스를 통한 지도와 네비게이션 기능 제공, 자동차 공유업체 우버와 리프트는 사용자와 차량의 연결, 그리고 자동차메이커 포드와 볼보는 자율주행차량 생산과 관련해 각자 필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이들 5개 업체는 미국 연방정부와 주정부 그리고 시정부 교통 당국과 의회 의원들을 상대로 자율주행차 운행에 필요한 규정·제도 마련을 조언하고 일반 대중을 상대로 자율주행차량 안전성과 장점을 적극 홍보할 방침이다.
당면한 쟁점은 자율주행차 운전자 탑승 의무화 여부다. 캘리포니아가 추진하고 있는 자율주행차 운행 규정 초안은 자율주행차에 운전대와 페달 설치를 의무화하고 면허가 있는 운전자가 탑승해 언제든 수동 운전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조건을 명시했다. 구글은 이에 대해 “자율주행차에 운전자 탑승을 의무화해서는 안된다”고 반대하고 있다. 구글은 자율주행차가 반드시 사람의 이동 뿐만 아니라 물건 배달 등에도 사용될 수 있는 만큼 운전자 탑승을 의무화한다면 자율주행차 이점이 반감된다고 보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자율주행차 인공지능시스템을 운전자로 간주할 수 있다는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앨런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노르웨이에서 열린 교통 컨퍼런스에서 “전기차 자동주행 모드가 교통사고 확률을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자율주행차 안전성을 강조했다. 사고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제공자, 차량 소유주, 차량 운행 요청자, 자동차 생산업체 등에게 어떤 비중으로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인지도 난제로 남아있다. 미국 국립고속도로교통안전청(NHTSA) 공청회를 거쳐 오는 7월까지 자율주행차 운행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관련 규정 마련에 착수할 방침이다. 자율주행 연합의 법률고문 겸 대변인을 맡은 데이비드 스트릭랜드 전 고속도로 교통안전청장은 “미국 전역에서 통용될 수 있는 단일화된 자율주행차 운행 표준이 필요하다”며 “정책 결정자들과 협력해 자율주행차 현실화를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아직 자율주행차 일반 운행이 허용되
[워싱턴 = 이진명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