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대남공작을 지휘하는 정찰총국과 핵과 미사일 개발을 담당하는 원자력공업성, 국가우주개발국을 제재 대상에 포함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에 미국과 중국이 최종 합의했다.
네드 프라이스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 대변인은 24일(현지시간) 긴급 성명을 통해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면담한 후 과거보다 진전된 내용의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안보리는 이에 따라 25일 오후 3시(한국시간 26일 오전 5시) 회의를 열어 북한에 대한 제재 결의안 채택을 위한 절차에 착수하기로 했다.
안보리가 논의중인 대북제재 결의안에는 북한정찰총국과 원자력공업성, 국가우주개발국을 포함해 불법행위에 관여한 무역·금융회사 등 모두 30여곳을 제재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 항공유 공급 중단을 비롯한 대북 원유공급 제한, 석탄과 철광석 등 북한 광물 수입금지, 북한 선박의 국제항구 접근 제한, 북한 항공기의 유엔 회원국 영공통과 금지 등의 조치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관계자는 “안보리가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5개 상임이사국과 다른 10개 비상임이사국을 상대로 결의안 초안을 회람하고, 이사국들의 별다른 이의제기가 없으면 이 초안은 최종 상정안을 의미하는 ‘블루 텍스트’(blue text)로서 전체회의에 회부된다”고 설명했다.
초안 회람부터 결의안 채택까지는 2~3일이 걸리는 점을 감안할 때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북 제재는 늦어도 오는 29일까지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다니엘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뉴욕 = 황인혁 특파원 / 워싱턴 = 이진명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