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금융굴기의 ‘화룡점정’이 될 위안화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편입에 청신호가 켜졌다.
2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오는 11월 IMF 차기 집행이사회를 앞두고 IMF 실무책임자들이 위안화의 SDR 편입을 지지하는 보고서 초안을 마련했다. IMF 관계자는 “기술적으로 (위안화를 SDR에 편입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들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최종 결정은 집행이사회가 내리겠지만 보고서 초안은 위안화를 통화바스켓에 포함시키는쪽으로 기울었고 편입을 막는 어떤 정치적 장애물도 없다”고 밝혔다. 실제로 프랑스와 영국이 위안화 SDR 편입을 지지한 데 이어 독일과 이탈리아도 편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등 국제정치 상황도 중국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중국 정부는 다음달 열리는 집행이사회에서 위안화 SDR편입을 최종 결정할 것으로 판단하고 IMF 결정을 환영하는 성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위안화의 SDR 편입은 이미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경제덩치를 키운 중국의 국제금융시장 장악력이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올해초 중국 주도의 첫 국제금융기구인 아시아인프라개발은행(AIIB)이 성공적으로 출범한데 이어 위안화까지 SDR에 편입되면 위안화 국제화가 더욱 가속화할 전망이다. 중국 정부의 궁극적인 목표인 위안화 기축통화화도 가시권에 접어들게 된다.
위안화 SDR편입으로 위안화 국제화가 본격화하면 전세계 무역시장에서 위안화 직접 결제비중도 늘어나게 된다. 중국 기업들이 달러를 통하지 않고 교역을 하면 환차손 리스크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위안화가 SDR에 편입되면 각국 중앙은행들은 기축통화의 또 다른 한축이 될 위안화 표시 채권 비중을 늘리게 된다. 스탠더드차타드은행 등 국제금융기관들은 위안화가 SDR 통화바스켓에 포함될 경우, 현재 전세계 중앙은행 외환보유고의 9% 수준인 1조달러가 위안화 표시채권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위안화 표시채권 수요가 늘어남에따라 중국 정부와 기업들이 국제 금융시장에서 위안화표시 채권을 발행하기도 더 원활해진다. 만에 하나 중국이 경제위기에 직면, 유동성 부족을 겪을때 위안화 표시채권을 발행해 빚을 갚거나 유동성을 확대해 위기 극복에 나설 수 있다는 얘기다. 위안화 표시채권 수요 확대로 중국 자산가치가 높아질 개연성도 크다.
중국의 금융개혁 역시 덩달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중국 민생증권은 “위안화 SDR 편입이 금리·환율 자유화 수준을 더 끌어올리고 금융분야 대외개방을 가속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금융시장에서 중국의 부상은 IMF 개혁을 가속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미국은 지난 2010년 서울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중국을 IMF 3대 쿼터 보유국으로 올리는 방안을 의결했다. 브라질·인도·러시아 등 브릭스(BRICS) 국가와 신흥국 의결권을 확대하자는 약속도 했다. 미국 집행위원회 영구이사 추천권을 박탈하는 내용도 들어갔다. 하지만 실제 발효는 공전을 거듭하다 결국 미국 의회가 이를 거부하면서 무산된 바 있다. 중국 입지가 확대되면 IMF 개혁을 거부하던 미국도 더 이상 버티기 쉽지 않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위안화 SDR 편입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왔다. 국제경제 관계자는 “미국에 필적하는 대국으로 성장한 중국이지만 금융 분야만큼은 달러의 벽을 넘어설 수 없었다”며 “달러 패권에 대한 피해의식이 강했던 중국은 위안화 SDR 편입을 각별히 희망해왔다”고 전했다.
위안화 SDR편입을 위한 사전정지 차원에서 중국정부는 지난 8월 위안화 시장환율 변동폭을 전격적으로 확대한데 이어 지난 23일에는 기준금리 인하와 함께 예금금리 상한선을 폐지하는 금리자유화 정책을 시행했다. 금리와 환율 자유화는 그동안 IMF가 중국에
증권분야에서 중국은 지난해말부터 후강퉁(상하이·홍콩 증시 교차거래)을 개시해 외국자본에게 본토 증시 투자를 열어줬다. 선강퉁(선전·홍콩증시 교차거래)과 후룬퉁(상하이·런던증시 교차거래)도 추진중이다.
[워싱턴 = 이진명 기자 / 베이징 = 박만원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