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만여 명의 난민을 수용하겠다는 독일 결정에 대해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난민 해법을 놓고 벌어지는 유럽연합 내 갈등, 이혁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시리아의 형제국이자 시리아 난민이 많이 있는 레바논의 4대 일간지에 덴마크 정부가 광고를 실었습니다.
'난민을 환영하지 않고, 특별 혜택도 주지 않겠다'
난민 문제가 골칫거리인 건 덴마크뿐 아니라,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체코, 폴란드도 마찬가지입니다.
4만여 명의 난민을 받아들이겠다고 결정한 독일이 오히려 난민 위기를 키우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난민들의 유럽행을 부추긴다는 겁니다.
특히 반이민정서로 극우주의 세력이 힘을 얻으면서, 프랑스 극우정당의 마린 르펜은 독일이 국경을 열어 저임금 노예를 들여오고 있다고 맹비난했습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16만 명의 난민을 받아들이기로 하고 9일까지 분산 수용안을 구체화한다고 했지만, 첩첩산중입니다.
이미 지난 7월 EU의 4만 명 수용안이 결렬돼 3만 2천 명으로 줄어든 바 있습니다.
난민이 거쳐 가는 헝가리는 국경을 둘러싼 장벽을 더 높게 세우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요르사 / 시리아 난민
- "안전하기만 하면 됩니다. 딸과 남편과 함께 살 수 있는 안전한 곳요."
내전으로 인해 시리아에서 발생한 난민만 400만 명, 16만 명을 유럽이 받아들인다 해도 1%에 불과해 대다수는 갈 곳이 없는 처지입니다.
MBN뉴스 이혁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