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NASA |
번개 많이 치는 지역의 지도가 공개돼 누리꾼의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이하 'NASA')이 번개가 많이 치는 지역을 한눈에 알 수 있는 지도를 공개했습니다.
지도를 분홍색으로 물들인 지역이 번개가 자주 발생하는 곳이며 보라와 회색 톤은 덜 치는 곳입니다.
이 지도에 따르면 번개가 많이 치는 지역은 주로 적도 지역과 바다보다는 대륙에 몰려 있습니다.
특히 베네수엘라의 마라카이보 호수에 연간 300번 번개가 쳐 이목을 끌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번개가 적은 편으로 번개가 자주 치는 지역은 주로 적도 지역과 바다보다는 대륙에 몰려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번개는 일반적으로 번개는 비구름과 더불어 불안정한 상태의 대기로 인해 발생합니다.
대륙의 경우 바다보다 더 빨리 태양빛과 열을 흡수해 불안정한 대기를 만들어내며 적도 지역이 특히 이에 해당됩니다.
이 같은 결과는 NASA의 열대강우관측위성인 'TRMM' 등이 동원됐습니다.
이 위성으로 지난 1995년부터 2013년 사이 ㎢당 번개 친 횟수를 집계해 지도가 완성됐습니다.
NASA 다니엘 세실 박사는 "인도 동쪽 브라마푸트라 계곡의 경우 5월에 엄청나게 많은 번개가 치지만 비가 쏟아지면 반대로 번개가 줄어든다"며 "비가 많이 내린다고 해서 반드시 번개가 많이 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불안정한 대기를 가진 곳이 번개가 많이 치는 지역으로 매일매
한편 번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특히 번개가 많은 여름철 낙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번개나 천둥이 칠 때 열려있는 현관문이나 창문을 닫아 공감을 밀폐시켜야 합니다.
특히 전선 등으로 연결된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뽑아두고, 금속 물체에서 떨어져 있는 것이 안전합니다.